경북소방, 101차례 소방훈련에도 "뾰족한 방법 없다"
진화에만 2시간…소방당국, 전기차 화재 대응에 골머리
사람이 탑승한 전기차 화재에 마땅한 구조 방법이 없어 소방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7일 경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9시 31분께 영주시 하망동에서 국산 전기차 택시가 상가 건물을 충돌하며 불이 붙었다.

주변에 주차된 차량용 블랙박스와 인근 CCTV에는 화염이 수 초 만에 택시 전체를 뒤덮는 장면이 포착됐다.

주민이 30초 만에 달려와 소화기로 진화를 시도했으나 손 쓸새 없이 번지는 불길에 접근이 불가능할 정도로 속수무책이었다고 한다.

소방차는 사고 신고 6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

소방관 41명, 소방차 13대 등 동원됐지만 불은 전기차 전부와 3층 건물 일부를 태우고 나서인 오후 11시 23분에야 완전히 꺼졌다.

운전석에 앉아 있던 70대 운전기사는 숨졌다.

다음날 오전 3시까지 안전센터 관계자 10여 명 등이 배터리 냉각 및 재발화 여부를 지켜보고 상황 종료를 선언했다.

통상 일반 자동차 화재는 30분이면 진압이 된다.

경북도소방본부는 전기차 화재 때 차량 전체를 덮어서 소화하는 '질식 소화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내 질식 소화포는 30개가 배치됐는데도 이번 사고에는 사용하지 못했다.

사고 차 안에 요구조자인 운전기사가 탑승했기 때문이다.

불이 난 전기차 주변에 수조를 설치해 열 폭주를 막는 진압 장치 '이동식 침수조'는 도내 하나도 없었다.

소방당국은 이동식 침수조가 있었더라도 이번 화재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놨다.

경북도소방본부 대응예방과 관계자는 "이동식 침수조는 화재 진압이 아닌, 진압 이후 안정화 단계에 차를 평지인 공터로 이동시킨 뒤 설치해야 하는데 화염이 너무 세서 견인도 못 하는 상황이었다"라며 "안에 사람까지 있어 차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견인조차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열폭주로 발생한다.

충격에 배터리 분리막이 찢어지면, 음극과 양극이 접촉해 과열 상태가 된다.

그 열로 전해액이 기체 상태로 변해, 배터리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져 외부로 분출하며 화재가 발생한다.

이번 화재 차량은 30개의 배터리 모듈(각 12개 셀), 즉 배터리 360개로 구성됐다.

소방당국은 가연성 물질인 전해액이 다량으로 배출됐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소방본부는 한번 터지면 진화까지 장시간 소요되는 전기차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부터 지난 8월까지 총 101차례의 전기자동차 화재 대비 소방훈련 및 교육을 진행했다.

지난 8월과 9월에는 직접 전기차 화재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다.

열폭주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질식 소화 덮개의 효과와 배터리 아이스 볼 투척 효과를 측정하는 등 전기차 진압 기법을 연구했다.

경북도소방본부 관계자는 "지금도 시중에 판매되거나 소개되는 전기차 진화 장비 대부분은 어느 정도 효율성이 나오는지 테스트하는 수준의 단계"라며 "전기차 진화 대책 자체에 뾰족한 방법이 없다.

굉장히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경북도내에서는 총 8건의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서 추산 재산 피해액은 총 1억 8천800만원이다.

올해 화재 중 사망 사례는 이번 사고가 유일하다.

경북도소방본부는 전기차 수요 급증에 따라 내년에는 이동식 침수조를 경산, 구미, 포항에 도입할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