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대 그룹사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가 급변하는 과정을 겪었다. 예상치 못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겪기도 했고 실적 피크아웃(정점 통과) 우려를 받기도 했다. 이들 그룹이 처한 상황은 주가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올 들어서만 50조원 이상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LG그룹은 주요 계열사가 부진을 면치 못했다. SK그룹은 상장 계열사가 증가했지만 시총이 제자리걸음을 했다. 반면 친환경·우주 간판을 내세운 한화그룹은 주가 재평가를 받았다. 포스코그룹은 실적과 주가가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삼성·LG그룹 시총 뒷걸음질

한화 '신사업'에 웃고, SK는 시총 200조 돌파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대 그룹 산하 104개 상장사 시총은 지난 16일 기준 1255조9353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1286조8103억원)과 비교하면 2.39% 감소했다. 신규 상장사 4개를 합쳐도 전체 시총은 3조원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사실상 10대 그룹 전체로는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분석이다.

삼성그룹 16개 상장사 시총은 지난해 말 744조5184억원에서 16일 689조1518억원으로 7.44% 감소했다. 순감소분은 50조원이 넘는다. 삼성전자 시총이 60조원 넘게 증발했다.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가 컸다. 삼성그룹사 중 삼성SDI가 시총을 9조원 넘게 늘리며 그나마 약진했다. 삼성그룹은 10대 그룹 중 전년 대비 올해 영업이익 증가폭이 40%대로 가장 낮다.

LG그룹도 10개 상장사 시총이 지난해 말 143조894억원에서 16일 134조4945억원으로 6.01% 줄었다. 삼성그룹과 LG그룹은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시총 합계가 감소했다. LG는 LG생활건강, LG화학, LG전자 등 3대 계열사 시총이 모두 감소했다. LG생활건강이 지난해 말 26조8091억원에서 16일 20조3887억원으로 그룹 내에서도 가장 감소폭이 컸다.

이상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은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국내 기업의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기차, 친환경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과감히 투자하면서 사업구조를 재편 중인 기업은 기업 가치가 안정적인 반면 기존 사업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주가가 부진하다”고 평가했다.

한화그룹은 주가 재평가

한화그룹은 그룹 전체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올랐다. 한화그룹 7개 상장사 가운데 증권사 세 곳 이상의 추정치가 나온 4개 상장사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 합계는 지난해보다 52.9% 늘어난 3조8417억원이다. 영업이익 증가폭으로 따지면 10대 그룹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7개 상장사 시총은 작년 말 16조5822억원에서 16일 19조5701억원으로 올 들어 18.02% 늘었다. 계열사가 신규로 상장한 그룹사를 제외하면 GS그룹 다음으로 증가폭이 크다.

주가 재평가가 이뤄졌다는 뜻이다. 한화솔루션이 추진하는 태양광,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추진하는 우주산업 등 신사업이 시장에서 호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포스코그룹은 증권사 추정치가 나온 3개 상장사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 합계가 지난해보다 242.3% 늘어난 10조561억원이다. 전체 상장사 시총은 올 들어 14.66% 증가한 40조1768억원을 기록했다. 실적과 주가 모두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과제 남긴 SK그룹

SK그룹의 21개 상장사 전체 시총은 202조9094억원으로 올해 사상 첫 200조원을 돌파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18조7425억원), SK아이이테크놀로지(12조849억원), SK리츠(9782억원) 등 올해 상장한 3개 상장사의 힘이 컸다. 이들을 제외하면 그룹 전체 시총은 지난해 말보다 1조원가량 줄었다.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로 SK하이닉스 주가가 올 들어 23%가량 하락한 탓이다.

다만 친환경 사업으로의 전환 속도 등을 고려하면 내년도 SK그룹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크다. 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는 “그룹사 중에서는 SK그룹이 수소충전소부터 시작해 폐기물 처리에 이르기까지 ‘탄소제로’ 정책에 빠르게 발맞춰 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에 주가 재평가 기대가 크다”고 설명했다.

롯데는 10개 상장사 시총 합계가 16일 기준 21조1631억원이다. 신규 상장한 롯데리츠(1조4470억원)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체 시총은 지난해 말 대비 5.91% 감소한 19조7161억원이다. 롯데케미칼이 부진한 데다 다른 계열사도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