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이후 세계 부동산 시장의 거래 중단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특히 거래단위가 큰 상업용 건물의 거래가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연 4년 전부터 IMF가 경고한 GHC, 즉 세계 주택가격 대폭락 경고가 현실화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부동산 하면 그 어느 국가보다 우리 국민들의 관심이 높죠.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 미국 주가가 전형적인 워블링 마켓 현상이 니타나고 있는데요. 오늘은 미국 내 코로나 확산 소식에 큰 폭으로 하락했죠?

-美 증시, 변동폭 커진 wobbling market 장세

-대형 호재와 악재 연속, 하루 걸러 1000p 등락

-안전자산 선호 경향, 금과 美 국채 가격 급등

-→美 국채금리, 장기물일수록 순차적 ‘사상 최저’

-안전통화 엔화와 유로화 부상, 달러인덱스 96대

-→원·달러 환율, 1170원 붕괴 가능성 대비 필요

Q. 오늘 다우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짐에 따라 월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철폐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 않습니까?

-월가, 한국보다 미국 內 코로나 확산 여부 주목

-코로나 확진자 나비 효과, 중국→한국→미국

-증시도 중국→한국→미국 순으로 나비 효과

-거품 심한 미국→한국→중국 순으로 낙폭 커

-코로나 사태 확산, 세계가치사슬 붕괴 우려

-기준금리 인하 등 총수요 진작책으로는 한계

-세계가치사슬 붕괴 우려 완화, 미중 관세 철폐

Q. 코로나 사태 이후 다루지 않았던 곳이 세계 부동산 시장인데요. 최근 들어 규모가 큰 대형 부동산일수록 거래가 중단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까?

-美 서브프라임 사태 후 세계 집값 ‘반토막’

-각국 중앙은행 돈 풀기, 세계 집값 회복세

-작년 세계 경기 둔화→상업용 부동산 하락

-작년 하반기 이후 고급주택 가격도 하락세

-코로나 사태 후 규모가 큰 부동산 거래 중단

-대형 상업용 건물과 고급주택 가격 하락폭 커

Q. 방금 ‘거래절벽’을 말씀해주셨는데요.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고 앞날을 예측하는데, 거래량이 어떻게 되느냐가 중요하지 않습니까?

-거래량, 모든 가격변수의 단기적인 선행지표

-투자금액이 큰 부동산일수록 선행성 더 커

-美, 거래절벽 속 서브프라임 악몽 되살아나

-日, 차이나머니 빠지면서 거래량 급감 지속

-英·中·호주 · 캐나다 등도 거래절벽 뚜렷해

-거래절벽→유동성 부족→마진 콜→디레버리지

Q. 그래서인가요? 4년 전 IMF 등의 부동산 가격 대폭락 경고가 현실화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지 않습니까?

-IMF의 글로벌 주택가격지수, 위기 직전 159

-작년 4분기 170, 리먼 사태 전보다 더 올라

-PIR·PRR로 볼 때 주택시장 거품 우려 확산

-IMF, 16년부터 ‘Great Housing Crash’ 경고

-코로나 사태 후 거래절벽, GHC 가시화 주목

-거품 심한 상업용, 고급주택일수록 낙폭 클 듯

Q. 말씀대로 세계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 세계 경기, 특히 한국 경기에도 악영향이 우려되고 않습니까?

-금융위기 후 자산효과 커, 역자산 효과도 커

-집값 하락→자산감소→소비감소→경기침체

-비대칭성, 자산 효과보다 역자산 효과 더 커

-美 부동산 가격하락에 따른 역자산 효과 커

-그린스펀, 美 집값 하락 따른 역자산 효과 0.09

-韓, 아파트 가격하락에 따른 역자산 효과 ‘0.23’

Q. 코로나 사태 이후 증시 폭락과 함께 앞으로 닥칠 주택가격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가 잇따르고 있지 않습니까?

-Fed, 12년 만에 기준금리 0.5%p 전격 인하

-시장과 경기상황에 따라 제로 금리 복귀할 듯

-brother국가 캐나다 중앙은행, 0.5%p 인하

-영국계 중앙은행, 조만간 0.5%p 인하할 듯

-ECB, 0.1%p 인하로 마이너스 폭 확대 가능성

-한국은행, 임시 금통위 통해 조기 금리 인하

Q. 코로나 사태 이후 국내 부동산 시장 상황도 알아봐야겠는데요. 다른 국가보다 거래 중단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까?

-文 정부 부동산 대책과 맞물려 거래중단 심해

-부동산 거래마저 중단→경기침체 현상 ‘더욱 심화’

-부동산 부작용 우려해 금리인하 주저하면 안돼

-文정부 부동산 대책, 뉴 노멀 시대 맞게 재조정

-대책 추진보다 시장에 맡겨 놓을수록 집값 안정

-증시로 자금의 통로를 마련해줄수록 집값 안정

-수요 대체식보다 ‘수요 타켓식 공급확대’ 더욱 효과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