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처럼 대기업 총수도 일본의 수출규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나서는 실정인데요.

정밀화학원료와 같이 일본이 원천기술을 많이 보유한 품목은 추가 제재 우려도 남아있어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송민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이 우리나라 수출을 규제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인 폴리이미드와 포토리지스트는 세계 시장 점유율이 90%에 달하고, 에칭가스는 70%에 달합니다.

이를 두고 정부는 일본이 독점적 지위를 악용한 사례라는 해석을 내놨습니다.

<씽크> 유명희 / 통상교섭본부장 (7월4일 대책 회의)

“금번 일본의 조치는 한국만을 특정해 선량한 의도의 양국 민간기업간 거래를 제한하는 것으로 신뢰훼손이라는 자의적 주장을 하면서 수출제한 강화조치를 발동하는 것은 전략물자 수출통제 취지에 전혀 부합하지 않습니다.“

우리 기업 가운데 금호석유화학이나 코오롱인더스트리, SK케미칼 등이 후발 주자로 나서고 있지만 일본의 기술력을 따라잡긴 아직 역부족이란 평가입니다.

더 큰 문제는 일본의 추가 제재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입니다.

대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실리콘웨이퍼와 같은 반도체 장비와 일본이 원천 기술을 독점한 정밀화학 원료 등은 추가 제재가 유력한 품목으로 꼽힙니다.

(인터뷰) 유환익 / 한국경제연구원 혁신성장실장

“반도체 수출 많이 하고 화학제품 수출 많이 하잖아요. 그게 다 일본에서 가져와서 조립해서 파는 거거든요. 원료를 섞어서 팔고. 정밀화학은 아직 기술들이 부족하거든요."

일본 소재를 바탕으로 완제품을 만드는 우리 기업으로선 자칫 ‘속수무책’으로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국제 공조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우리 기업이 원천 기술 확보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선 안 된다고 지적합니다.

또, 제재 품목이 확대되면 한일 양국 산업에 미치는 악영향은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정부가 협상 채널을 확보해 관계 회복에 나선다는 신호를 시장에 우선적으로 내비쳐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송민화입니다.

송민화기자 mhso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