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서는 이미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되고 있지만 올해 마지막 금리 결정인 11월 인상도 장담할 수 없게 됐습니다.

한국은행 특유의 우유부단함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계속해서 정원우 기자입니다.

<기자>

저금리에 풀린 돈이 부동산에 쏠리면서 지난 몇 년 사이 부동산 경기는 초유의 호황을 보였습니다.

반면 돈이 흘러들어가야 할 제조업이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면서 고용 쇼크로 이어졌고 최근에는 소비마저 주춤하고 있습니다.

통화정책의 부작용이 쌓이고 있지만 올해 단 한 차례도 금리를 올리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실기한 거죠. 아주 실기한 거죠. 매우 늦었다고 보고요. 그동안에 한국은행이 그렇게 금리를 낮춰서 움직이는 바람에 지금 대한민국의 부동산 투기와 과도한 가계 부채의 확장이 일어났다고 보기 때문에 서둘러 저는 이것을 정상화 시켜줘야 한다...”

금리 인상이 늦어지면서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국내 증시는 올해 2월 쇼크를 경험했고 최근에 다시 그 공포가 재현됐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미국의 빠른 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면서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 급락을 불러오는 이른바 긴축발작에 대한 공포가 주된 원인입니다.

채권시장은 위기가 덜하다고 하지만 사상 최대로 벌어진 시장금리 역전폭에 불안감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나마 버텨주던 원화도 최근 약세 조짐을 보이면서 조단위 자금을 굴리는 외국 펀드들이 한국을 고집할 이유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금융안정 상황이 심상치 않지만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면서 올해 마지막 남은 금리 결정인 11월에도 금리 인상을 장담하기는 어렵습니다.

<인터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금리정책의 조정을 통해서 만약 기업의 장기적인 상황이 악화되거나 주택 시장이 붕괴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한다면 보다 더 심각한 자금이탈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서 통화정책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실물경기를 고려해 금리를 결정하겠다며 11월 금리 인상 전망에서 마저 한발 물러났습니다.

한국경제TV 정원우입니다.

정원우기자 bkju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