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에선 단말기 자급제 도입이 속도를 내고 대외적으로는 구글의 정책변화 가능성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구글이 그간 무료로 사용케했던 G메일이나 크롬 등 자사 어플리케이션을 유럽에서 유료화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인데요.

유럽연합의 반독점 제재에 대한 대응책인데, 유럽 외 다른 지역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는 물론 단말기 제조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김치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구글의 어플리케이션 유료화 정책은 소비자가 아닌 제조사를 대상으로 합니다.

지금까지 구글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공짜로 사용하는대신 구글플레이와 자사의 검색 앱 등을 홈 화면에 의무적으로 노출토록 강제했습니다.

더불어 G메일이나 유튜브 등 다른 구글의 어플리케이션들도 단말기를 출시할 때 기본 탑재토록 유도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앱들을 기본으로 탑재해 출시할 경우 일정 비용을 받겠다는 겁니다.

구글의 이같은 정책변화는 유럽연합의 공정거래위원회격인 경쟁담당위원회가 구글의 선탑재 앱의 무료가 부당쟁경 행위라며 우리돈으로 5조 6천억원에 이르는 과징금을 부과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마르그레테 베게타게르 EU 경쟁담당 집행위원 (지난 7월)

"구글은 검색엔진 등의 시장 지배력 등을 강화키 위해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활용해 왔다. 이런 행위는 경쟁사들의 혁신이나 경쟁을 통해 만들어지는 장점들을 제안하는 행위이다. 또 이들의 이런 행위로 모바일 시장에서 경쟁이 소비자들에게 가져다 주는 잇점들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아직 구글이 구체적으로 얼마를 받을 것인지는 밝히진 않았지만 선탑재 앱이 없는 단말기와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 그리고 모든 구글앱이 담긴 단말기로 구분해 가격 차이를 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변수의 등장으로 삼성과 LG전자는 물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기대 단말기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들의 고민도 늘었습니다.

당장 유럽에서 단말기를 판매할 때 추가로 발생한 비용을 단말기 가격에 반영해 소비자에게 전가할지 아니면 자신들의 이익에서 일부를 감내할지 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유럽을 넘어 우리나라 등 갈수록 높아지는 구글의 시장 지배력을 견제하려는 각국 정부의 움직임도 상황에 따라 제조사들의 단말기 판매등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점도 고민거립니다.

전문가들은 독자 운영체제를 갖지 못한 삼성과 LG전자 등의 태생적 한계를 지적하며, 구글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자신들이 시장 지배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결국 최종 피해자는 소비자라는 점을 부각시키려 한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한국경제TV 김치형입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