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접점을 찾나 싶던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관세폭탄과 보복관세를 주고받으며 다시 격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에 따른 환 리스크, 신흥국 경기둔화 우려마저 현실화되며 수출기업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예정된 수순을 밟듯, 미 연준은 금리 인상을 선택했고 우리 수출전선에는 짙은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면 달러는 강세, 원화는 약세를 나타내 대미수출에 호재로 작용하지만 신흥국 수출을 감안하면 문제는 간단치 않습니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은 결국 신흥국에 뿌려진 대규모 자금의 미국행을 부추기고, 달러 빚 비중이 높은 신흥국의 경기침체, 환율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공산이 높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 비중의 절반을 넘는 신흥국 수출에 비상이 걸리는 것으로, 호재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수출 1, 2위 대상국인 미중간 무역분쟁이 난타전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 또한 수출에 부담요인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줄면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이어져 한국산 수출품 수요가 줄고 반도체 등 한국산 중간재 수출도 급감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우려가 크다. 수출 주도하는 재화가 반도체 밖에 없다. 환율·금리 변동성 커지면 수출에 대해서는 악영향 불가피”

한미 정상간 FTA 개정안 최종 서명으로 우려가 상당 부분 해소됐지만 반도체와 함께 또 다른 수출의 핵심인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 적용 여부가 빠진 것도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중 하나입니다.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매기면 차 가격이 오르며 그나마 있던 가격경쟁력을 잃게 되고 이는 주요 민간연구소들이 예상한 연간 수 조원대 손실의 현실화를 의미합니다.

<인터뷰>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팀장

“직접적인 수출피해. 간접효과, 투자심리 위축, 경제둔화까지 합치면 피해 더 커질 수 있다”

미국은 이미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조치를 예고했고, FTA 개정 실익 여부, 신흥국 경기둔화 조짐,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新경제냉전’이 몰고 올 파장은 가늠하기 조차 쉽지 않습니다.

‘파장이 제한적’이라는 정부의 상투적인 멘트를 뒤로 한 채, 대체시장 발굴, 환 대응, 가격·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법이 마땅치 않은 수출기업들은 몰려드는 악재 속에 냉가슴만 앓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