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청년층과 노년층간 일자리 격차가 심각한 상황인데요.

앞으로는 일자리 수 저체가 줄어들어 세대간 일자리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이의 중간 직무의 개발이 시급하고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저숙련 근로자들을 위한 일자리를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박준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6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7만5천명. 1년 전보다 4.3% 늘었습니다.

1년 새 직장을 잃고 새로 일을 찾는 사람이 그만큼 늘었지만 고용 상황은 여의치 않습니다.

[인터뷰] 주상영 건국대학교 교수

"어중간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의 일자리가 점점 없어지고 있고 특히 민간에서 잘 창출이 되고 있지 않다"

재취업은 물론 신규 취업에서도 연령이 낮고 숙련도가 떨어지는 청년층의 고용은 더욱 악화될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전문가들은 고용 관련 규제의 과감한 철폐로 노동시장의 역동성을 키우는 시급하다고 조언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경쟁력은 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그만큼 노동시장이 경직되고 신규 일자리 창출에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준 정규직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인터뷰] 주상영 건국대학교 교수

"경력단절여성이나 조기은퇴자 등을 대상으로 풀타임은 아니더라고 준 정규직 같은 일자리 제공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한편에서는 저숙련 근로자를 위한 저임금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

"낮은 임금의 일자리라도 지금은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문제를 보면 아래쪽(저소득층)은 확실히 일자리 개수가 중요하다"

저숙련 계층을 위한 맞춤형 저임금 일자리와 준 정규직 확대 등 유연한 노동 정책과 노사관계의 정립이 필요한 주장이 설득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입니다.

박준식기자 parkjs@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