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집도 라돈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상황이 이런데도 관련법 규정은 전혀 없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지효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인터넷에 `라돈`을 검색하자 라돈측정기를 구하는 게시글이 쏟아집니다.

9만대 넘게 팔린 침대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자, 소비자들이 직접 조사에 나선 겁니다.

실제로 라돈 침대 피해자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재원 / 강원도 원주시

"나중에 암 걸려서 죽을까 무섭고, 일단 방사능 물질이잖아요. 방사능 피폭돼서 아픈 사람들 보면 무서워요.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그렇고."

<인터뷰> 박하은 / 강원도 원주시

"엄마가 기숙사 침대도 확인해봐야 되는 거 아니냐고 하시고 …임신도 못한다고 하고 몸에도 안좋다고 하고 저 애기 많이 낳고 싶거든요."

라돈은 침대를 비롯해 일부 화장품, 목욕용품에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가장 큰 문제는 집입니다.

천장, 내벽에 쓰이는 석고보드 등 건축 자재에서 방사능 물질이 붕괴하면서 라돈 가스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토양이나 암석에 섞여 있는 라돈이 건물 바닥, 벽 등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결국 집 자체가 라돈에 노출돼 있는 셈이지만, 우리나라는 규제할 법 자체가 없습니다.

<인터뷰> 조승연 / 연세대학교 라돈안전센터장

"집에서 고유하게 나오는 오염물은 라돈 밖에 없습니다. 지역이나 집에 땅값이나 집값에 영향을 미칠까봐 쉬쉬하는 경향이 강했죠. 가령 미국은 집을 사고 팔 때 라돈 농도를 밝히게 돼 있습니다 제도상."

세계보건기구, WHO는 실내 공기 중 라돈이 100Bq/㎥을 넘지 않도록 권고합니다.

수치가 낮을 수록 엄격한데 한국의 기준은 200Bq/㎥, 이 마저도 가이드라인 수준이라 강제할 방법은 없습니다.

올해부터 환경부에서 라돈 농도 측정을 의무화 했지만, 측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기준치를 넘어도 관리가 안되는 상황.

실내 라돈의 위험성이 그동안 간과돼 온 만큼, 관할 기관의 제대로 된 원인 조사와 함께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