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다한 이야기] 능력중심 사회 만든다던 NCS, 탄생은 `졸속`
(▲ 사진 = NCS 개발을 맡은 한국산업인력공단)

"NCS로 나랏돈 다 해먹는 줄 알았는데, 이제 걔도 나가리 됐어"

몇 달 전 한 취재원과의 만남 중에 우연히 전 정부에서 NCS를 채택한 뒷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그의 주장은 이렇다. 2000년대 초반부터 십 수 년 간 정부부처 어딘가에서 돌고 돌았던 `국가직무능력표준` 정책이 박근혜 정부 들어서면서 본격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됐다는 이야기였다.

NCS의 탄생 배경에 대해 그는 일부 관료들과 청와대가 합작해 만든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이 취재원은 “일부 관료들이 급히 만든 게 NCS다. 무슨 의도였는지 도통 알 수가 없다”고 전했다.

‘능력중심사회’가 모토인 NCS와는 엇갈리는 대목이다. 지난해 한 대선 주자의 ‘선의’ 발언이 문득 떠오른다.

그 한 마디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지만 그의 취지는 상당부분 이해가 된다. NCS도 마찬가지로 시작은 선의가 아니었을까. 국가가 정한 직무능력기준을 표준화 해 국가 성장에 이바지하고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는 게 목적이지 않았을까 말이다.

NCS 결과론을 아직 언급하기엔 이르지만 개발 단계부터 예산 반영, 확산에 이르기까지 더딘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지난해 NCS 개발에 참여했던 이들 사이에서 정권교체와 함께 NCS가 없어질 것이라고 나 돈 흉흉한 소문도 짚어봐야 할 대목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말이 있다. 교육을 하나의 정책으로 치부하기보다 충분한 연구와 반영 시 생겨날 문제에 대한 대비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NCS를 통해 무엇을 얻으려고 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NCS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겠다.

사족 하나. 6월 13일은 지방선거 날이다. 시·도지사를 비롯해 국회의원 등을 선출하는 날이자, 17개 시·도교육감을 뽑는 날이기도 하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선 안 될 교육이 진보와 보수로 나뉜 후보들의 공방으로 의미가 퇴색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우리의 교육은 진보와 보수가 아닌 아이들의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과연 어떤 후보가 올바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지는 어른들이 판단해야 할 몫이다. 6·13 지방선거 D-1, 투표 전 교육감 후보들의 정책 공약집을 다시금 돌아보자.

<글. 강홍민 캠퍼스 잡앤조이 · 1618 팀장>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