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증권사들의 채무보증 액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금리인상이 본격화되면 기업들 부채상환 부담이 커지게 되고 결국 보증을 서준 증권사도 이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게 되는데요.앞으로 증권사들의 건정성에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됩니다.신용훈 기자가 짚어봅니다.<기자>외국계 지점을 포함해 국내 증권사들의 채무보증 규모는 총 26조3천억원.지난 2012년말 1조4천억원에서 무려 19배 가까이 늘었습니다.금융감독원 통계 자료를 보면 증권사 채무보증 규모는 2014년부터 크게 늘기 시작해 2015년에는 20조원을 돌파했고 이후에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이처럼 채무보증액이 급증한 이유는 전통적인 방식의 위탁매매 수익이 줄어든 증권사들이 기업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이나 어음 약정 매입 등을 조건으로 수수료를 받아 수익 부족분을 메우고 있기 때문입니다.특히 2015년 이후 부동산 PF(프로제트 파이낸싱)사업이 늘어난 것도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인터뷰> 증권업계 관계자"시장에서 PF관련된 딜이 많아졌고요. 증권사의 경우는 자기자본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보니 특히 중소형 증권사는 자기자본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딜 들이 많이 늘다 보니까 우발채무 보증이 많이 늘었습니다."통상 부동산PF 채무보증을 서준 증권사가 가져가는 수수료는 최저 3% 수준, 기업어음 매입약정은 1~1.5%로 위탁매매수수료(0.1%안팎)의 10배가 넘습니다.문제는 부동산 경기악화와 금리인상입니다.올해부터 건설경기가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다 금리인상도 본격화 되면 기업들의 채무 부담은 늘 수밖에 없고, 자연스레 이 부담은 보증을 서준 증권사들의 몫으로 돌아가게 됩니다.금융당국도 이 같은 위험을 인식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채무보증 관련 감시 시스템을 도입하고 증권사별 우발채무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습니다.<인터뷰> 김명철 금감원 자본시장국 건전경영팀장"점차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꺾이면 타격이 올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경고를 줄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하고…"하지만 감시시스템을 통해 위험성이 발견 되더라도 이를 강제적으로 견제할 수단은 없습니다.채무보증액이 늘어난 만큼 금리급등 시기 증권사들의 건전성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은 그만큼 커지고 있습니다.힌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신용훈기자 syh@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