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를 타고 내 집을 마련하거나 부동산 투자로 눈을 돌리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가구의 평균 부채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가구는 또한 세금 등 필수지출을 빼고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중 4분의 1가량을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고 있었고 실제 일부 가구는 원리금 부담 때문에 허리띠를 졸라맨다고 답했다.<연합뉴스 DB>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0일 밝힌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다.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6,천655만원으로 1년 전보다 6.4% 증가했고 부채 증가 폭은 2013년 7.5% 이후 최대를 나타냈다.가계부채는 금융부채 70.4%(4,686만원)와 임대보증금 29.6%(1,968만원)로 구성됐다.전체 연령대 가구주의 부채가 늘긴 했지만 특히 40대 이하 가구주의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40대 가구주 부채는 지난해 7,160만원에서 올해 8,017만원으로 12.0% 늘어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자영업자 부채는 3.9% 늘어 증가 폭은 가장 작았지만 부채 규모는 9,812만원으로 평균이 1억원에 육박하며 가장 컸다.소득 분위별 가구의 평균 부채를 보면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가 4,762만원에서 5,330만원으로 1년 만에 11.9% 올라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이같은 부채 규모 확대는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로 가계가 빚을 지고 재테크 수단으로 부동산을 사들이거나 내 집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조사 결과 금융부채 중 담보·신용대출을 보유한 가구의 40.3%는 거주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빚을 졌다고 답했다.부채가 빠르게 늘면서 가계의 재무건전성 지표는 악화,가계부채 위험성의 `척도`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DSR)은 26.6%로 2.6%p나 상승했다.DSR는 관련 통계가 시작한 2012년 17.2%에 그쳤지만 이후 매년 상승, 2014년(21.7%) 20%를 돌파하고서 올해에는 25%대도 넘겼다.가계는 늘어나는 원리금 부담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나 금융부채 보유 가구 중 70.1%가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그중 74.5%는 원금 상환과 이자 지급 부담 때문에 저축, 투자, 지출을 실제로도 줄이고 있다고 답해 가계부채 부담에 내수가 짓눌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신승환, ‘낭만닥터 김사부’ 재등장…새로운 사건 예고ㆍ최순실, 혐의 전면 부인… 문성근 "참으로 끝까지 더럽다"ㆍ신애 셋째 딸 출산… 훈남 남편+딸 일상 공개 "희민이 좋겠다"ㆍJTBC에 트럭 돌진, 손석희 겨냥? "孫을 대통령으로.." 플래카드 보니ㆍ‘냉부해’ 거미, 시청자 홀린 특급 매력ⓒ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