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금융기관들도 한진해운 살리기 동참"

한진해운의 선박금융 협상이 급진전을 보이면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최대 선주사인 시스팬이 용선료 조정에 합의함에 따라 용선료 협상도 사실상 완료됐다.

한진해운과 한진그룹은 "독일 HSH 노르드 방크, 코메르쯔 뱅크, 프랑스 크레딧 아그리콜 등 해외 금융기관에서 해운 선박금융 채권 상환유예에 대한 동의 의사를 전달해왔다"고 28일 밝혔다.

이들은 한진해운의 해운 선박금융 채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금융기관들로, 그동안 산업은행 보증이 없을 경우 상환유예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회사 측은 "기존 입장을 철회하고 한진해운 살리기에 동참한 것"이라며 "이들의 상환유예만으로 약 1천28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를 보게 됐고, 해외 금융기관들도 동참하겠다는 의사 표명이 이뤄지고 있어 총 4천70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가 생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진 측은 또 "용선료 조정 협상에서 마지막까지 난항을 겪던 최대 선주사인 시스팬이 산업은행의 동의를 조건으로 용선료 조정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용선료 협상이 완료됨에 따라 약 8천억원의 자금조달 효과가 발생했고, 선박금융 유예와 더불어 총 1조2천700억원의 유동성 조달 효과를 보게 됐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은 선박금융과 용선료 협상이 모두 완료될 경우를 가정해 한진해운의 부족자금을 1조~1조2천억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한진 측은 최근 채권단에 제출한 추가 자구안과 관련해 "그룹으로서는 조달 가능한 최대한의 내용"이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룹이 이미 2014년 최은영 전 회장으로부터 경영권을 넘겨받은 이래로 1조2천억원을 지원했고, 이번 자구안을 포함하면 총 지원 규모가 1조7천억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한진 측은 "현재 대한항공 부채비율이 1천100%나 되는 등 그룹이 재무적으로 녹록한 상황이 아니어서 5천억원 이상의 지원은 무리다"라며 "그럼에도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을 살리고자 노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해외 금융기관들까지도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지 않도록 나서고 있다"면서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업이 붕괴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정부와 채권단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br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