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도회사의 정의동인도회사 하면 우선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 올릴 것이다. 물론 프랑스와 영국이 중앙아시아와 훗날 동북아시아에까지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국가인 것은 맞지만, 인도무역의 포문을 연 것은 포르투갈 이다. 1510년 포르투갈의 인도-고아(Goah)지역 진출을 시작으로 1596년 네덜란드(인도네시아-자바섬), 1602년 영국(인도-뭄바이), 1604년 프랑스 (1664년 대거재편), 1612년 덴마크, 1731년 스웨덴 까지 16세기말부터 서유럽은 아시아 무역의 이익을 위해 경쟁과 이합집산을 반복했다. 쉽게 말해 동인도회사는 우리가 아는 인도만이 아닌 非기독교문명권을 통칭하는 유럽식 표현이고, 여기에는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절박했던 유럽1453년 오스만 투르크의 메흐메트 2세가 오늘날의 터키-이스탄불인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한 후 유럽의 동방무역은 투르크 제국의 크고 작은 무역정책에 시달려야 했다. 말이 좋아 “정책”이지 사실상 “봉쇄”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역사는 때로는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기회를 안겨준다. 육상으로의 무역길이 이슬람세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을 묵과할 수는 없었던 결과 찾아낸 길이 해상을 통한 무역루트다. 고유명사가 되어 버린 “1492콜럼버스”와 1453년의 사건사이에 일어났던 기독교세력과 이슬람간의 충돌들은 지면으로 다 열거하기도 힘들 것이다. 영국 동인도회사17세기가 시작될 무렵 유럽은 아시아 무역을 목적으로 하는 상사(商社)를 설립했고, 그 목적은 당연히 동방무역을 통한 인한 부(富)의 획득이었다. 이 회사들은 국가주권을 가진 특허회사 였으나 훗날 식민지를 확보·경영을 거치며 그 자체로 국가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과는 처음부터 계획된 것은 아니었다. 여기서의 특허권이란 “영국의 민간상사는 동양의 어느 지역에서든 (물리력이 된다면) 통치, 무역, 법률제정과 관련한 권한뿐만 아니라 무역거점 혹은 종류에 관계없이 상업에 필요한 관청 등을 운용할 수 있는 권한을 회사에 부여” 한다는 의미이다. 초기 영국의 동인도회사는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처럼 상인들이 정치에 개입해 영향력을 발휘 할 수는 없었지만 교역량이 커지면서 이마져도 사실상 폐기시키고 완벽한 무역의 자율권을 보장했다. 차후 영국 내에서도 동인도회사가 인도의 성장을 방해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정치적인 해석이었을 뿐 당시의 인도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런던의회의 일방적 시각이었으며, 무엇보다 19세기 초반까지 동인도회사는 다른 영국의 신흥 상사들보다 인적네트워크를 통한 촘촘한 유통망, 정보수집능력, 생산설비, 효율적 자금운용능력을 포함 모든 분야의 경쟁력에서 압도적 이였다. ▲18세기 런던의 동인도회사 본사 전경세계최초이자 최대의 다국적 기업, 주도세력은 왕실도 의회도 아닌사익을 추구하는 민간기업의 열정역사에서 “제국”을 논할 때면 그 무게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내기 이전 동경과 경외심이 앞선다. 그러면서 논의 되는 건 그 시대의 정치 지도자들이다. 예를 들어 고구려-광개토태왕,몽골제국-칭기즈칸, 투르크 제국-메흐메드2세, 대청제국-누르하치, 대영제국-(?) 에서 막힌다. 이유가 무얼까? 과도한 중앙권력이 모든 것을 통제하던 중국과 조선이 19세기말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오류를 범했음에도 최소 오늘날의 한국에서 가르치는 세계사에서 만큼은 제국을 융성하게 만든 모든 공을 정치지도자에게만 돌리는 “못된 습관”을 가졌다. 중앙집권을 오랫동안 경험한 한국인들 입장에서 외교와 통치는 당연히 국가의 몫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는 우리에게 상사(商社)가 외국에서 영토를 소유하고 통상의 자율권과 화폐 제조권을 가진 후 종극에는 통치권을 얻는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는다.서유럽의 대외 팽창을 논할 때 빼놓으면 안 되는 세력이 사익을 추구하던 개인집단의 힘이다. 이것은 봉건제도가 가진 특유의 긴장감이 만들어낸 문화일 수도 있고, 개인가치를 다른 문명보다 일찍 깨달은 유럽의 인식 변화였는지는 해석의 여지가 있으나 영국의 동인도회사가 인도에서 막대한 이윤을 창출하는 과정을 보면 부를 추구하고 싶던 민간주도의 개인집단과(기업) 거기에 발맞추어 자율권을 허락한 영국왕실의 열린 사고에 그 배경이 있다.영국의 동인도회사는 1601년 제1차 항해시절 보급선을 포함하여 겨우 5척의 선박을 아시아로 보낼 자금력밖에 없었지만 120년 만에 세계 최대의 다국적기업으로 성장했으며, 200년 후에는 전 무굴지역의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는 역사상 최강의 다국적기업이 되었다. 1857년 인도의 세포이 항쟁으로 영향력을 잃고 빅토리아 여왕에게 통치권을 위임 했지만, 무려 250년이 넘게 장수한 회사였다. 간과하면 안 되는 사실은 동인도회사가 기존의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훗날 프랑스의 도전까지 물리치고 가장 막대한 이윤을 얻는 과정에서 영국의 국고유출 없이 자력으로 아시아에서 대영제국의 기초를 구축하는 성과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대영제국 건설의 뼈대는 동인도회사 시스템미국의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세계경영(Global Management)의 3대 성공사례 중 하나로 영국의 인도 통치를 꼽으며 그 바탕을 엘리트 행정관 채용에서 찾는다. 동인도회사는 상업목적의 무역뿐만 아니라 행정을 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해지자 인도 현지에서 스스로 학교를 세워 행정관을 양성했는데 포트 윌리엄 컬리지 (Fort William College)가 대표적 예이다. 이 대학은 런던의 동인도대학으로 변모했고 그 대학의 교수가 불후의 명저를 쓴 「인구론」 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 이다. ▲Official Seal of East India Company(동인도회사의 공식휘장)동인도회사는 더 나아가 학생을 임원의 추천만으로 뽑는 폐쇄적인 채용에서 벗어나 본국(영국)의 공무원보다 더 먼저 공개시험제도를 통해 전문 인력을 채용하기까지 이르렀다.특이한 점은 대영제국이 상업으로의 경영을 접은 동인도회사를 통해 인도를 직간접적으로 통치하는 과정에서 동인도회사의 시스템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것이다.영국이 인도인을 가장 장기적이고 대량의 인력을 고용한 것은 재화를 생산하기 위한 인력이 아닌 군대였다. 영국에게 고용된 인도군은 국내 문제인 인도의 내전뿐만 아니라 청나라, 버마, 이집트등 에서 벌어지는 해외 전쟁에도 파견되었다. 잘 안 알려진 사실 이지만 1, 2차 아편전쟁에서도 핵심 축을 담당했던 병력들도 동인도회사의 사무역인(私貿易人)을 통해 고용된 인도계용병들이었다. 이 집단들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1947년까지 영국과 유럽의 크고 작은 전쟁에 동원됐다.(2편에 계속)임종화 경기대 무역학과 객원교수※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데일리뉴스팀기자 daily_sp@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이주노 ‘망신 끝장나’....과거 톱스타 맞아? “성추행 혐의” 충격
ㆍ장윤주 마인드를 부러워해! 임신 소감 남기자 폭발적~반응
ㆍ메시 국가대표 은퇴 선언 "챔피언 못돼 가슴 아파" 눈물펑펑
ㆍ장윤주 임신 소감 전해, 연하 남편과 알콩달콩 신혼집도 화제 "완전 달달"
ㆍ교대역 8번출구 묻지마 난동…20대男 흉기 휘둘러 시민 4명 부상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