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을 융통성 있게 조정하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근로자나 기업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다만 선진국에 비하면 여전히 제도 도입률이 낮고, 기업문화 개선이 병행돼야 제도 도입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연합뉴스 DB>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300개 회원사(유연근무제 도입 150곳·검토 중 150곳)를 대상으로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 실태`를 조사한 결과, 도입 기업의 92.8%가 제도 시행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주목할 점은 기업보다 근로자 입장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는 것.절대다수인 근로자의 96.7%(이하 복수응답)는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직무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응답도 96.0%나 됐다.기업들도 `생산성 향상`(92.0%), `이직률 감소`(92.0%), `인재 확보`(87.3%) 등을 제도의 긍정적 효과로 지목했다.정부가 올해 중점과제로 추진 중인 `전환형 시간선택제`도 기업의 93.8%가 `생산성 향상, 근로자 만족도 제고, 업무 집중도 증대, 기업 이미지 제고` 같은 효과를 봤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았다.`전환형 시간선택제`란 필요한 경우 근로시간을 줄여 근무하다 이후 정상 근무로 전환하는 것을 가리킨다.그러나 이런 긍정적 효과에도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국내 기업은 5곳 중 1곳 정도(22.0%)에 불과,선진국들에 비해 활용률이 크게 낮았다.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우리나라의 도입률은 12.7%로, 미국(81.0%), 유럽(66.0%)보다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낮았다.전일제(하루 8시간)보다 근로시간만 짧은 시간제도 유럽 기업은 69.0%, 미국 기업은 36.0%가 도입했지만 우리나라는 11.3%에 불과했고 업무가 몰리는 시기에 근로시간을 늘렸다가 업무 비수기에는 짧게 일하는 등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률은 9.2%, 재택근무는 3.0%에 그쳤다.기업들은 유연근무제 활성화의 걸림돌로 인건비 부담, 인사 관리의 어려움 등을 꼽았다.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김성민 뇌사 판정 후 장기기증, 5명 새 삶 주고 떠났다…28일 발인ㆍ`성추행 혐의` 이주노, 고백 눈길 "여자도 더럽다는 사실 처음 알았다"ㆍ김성민 뇌사 판정, 아내 심경 "가장 원망스러운건 나…내가 잘못"ㆍ김성민 5명에게 새 생명, 윤형빈·윤현숙 등 ★애도 물결 "고통없길"ㆍ금시세 어디까지 오르나, 하루에만 4.7% 급등…브렉시트 후폭풍ⓒ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