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가 최근 4년간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시행한 결과, 오히려 민간 투자는 줄고 저축은 늘어났다는 게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다. 올해 민간 투자는 GDP의 16.1%로 1990~2012년 평균치(18.1%)보다 2%포인트 줄었다. 반면 민간 저축률은 26%로 과거 20년간 평균(21.3%)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투자와 소비를 늘려 경기를 살리겠다는 당초 의도와는 정반대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에 대해 “디플레 우려가 확산하면서 미래 구매력 확보를 위해 소비자들이 저축을 늘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업 역시 경기전망이 불투명해 몸을 사리면서 투자를 줄였다는 것이다.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 중인 일본과 유로존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올 1분기 일본의 성장률은 0.2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로존 성장률은 계속 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절대적인 금리 수준보다는 디플레 우려나 불투명한 경기전망이 경제주체들의 행동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하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다. 2012년 7월 가장 먼저 마이너스 금리를 선택한 덴마크에 이어 일본 등 모두 6개 국가(유로존 포함)가 이 정책을 시행 중이다. 마이너스 금리정책은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일종의 보관료를 징수하는 것이다. 시중에 많은 돈이 돌게 해 경기를 살리겠다는 취지지만 막상 결과는 그렇지 않다.

물론 스웨덴처럼 마이너스 금리 후 소비지출과 수출이 늘어 성장률이 올라가고 물가가 상승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를 일반화하기는 힘들다. 많은 전문가는 마이너스 금리의 분명한 효과는 통화가치 하락 정도이며 그 자체로 경제에 도움을 준다는 보장은 없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에서도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추가 금리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하지만 극단적인 저금리는 자산 거품이나 은행 수익 악화 등 부작용도 적지 않다. 덴마크의 실패는 경기를 살리는 것은 금리 자체가 아니라,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사실을 거듭 상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