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마이너스 기준금리 도입에 따른 은행들의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앙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이 실제 경기 부양 효과로 이어질지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은행들도 잇단 기준금리 인하로 수익성 하락을 겪었다. 유럽과 일본에서 일어난 ‘저금리 정책의 유효성 검증’ 논란은 국내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주가 하락세 벗어나

최근 은행주들은 저평가 메리트가 부각되며 2014년 8월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이어져온 주가 하락세에서 벗어났다. 은행주 주가 약세를 불러왔던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국내 시중금리 하락으로 은행의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떨어졌다. 국내 은행 수익에서 이자수익 비중이 85~90%로 절대적인 상황에서 NIM 감소로 그간 주가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국내 은행의 NIM은 2013년 이후 2년간 15% 빠졌다. 하지만 은행의 이자수익 하락률은 4%에 그쳤다. 높은 대출 증가율 덕분이다. 대출이 증가한 것은 안심전환대출 및 중소기업 대출 공급과 같은 정부 주도의 조치에 소호대출 확대와 같은 은행 자체의 노력이 더해진 결과다.

NIM이 앞으로 올라가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적어도 하락 추세에서 벗어난다면 은행의 실적과 주가에 대한 비관론을 잠재울 수 있다.

양호한 가계 대출 건전성

저금리 기조가 은행에 부정적인 영향만 미친 것은 아니다. 돈을 빌려간 차주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고 국내 주택시장 호황에 대출 담보가치가 상승하며 대출 연체율이 떨어졌다. 국민은행은 2015년 가계 대손비용률(대출금 대비 충당금 비율)이 7bp(0.07%포인트)까지 하락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진 은행의 NIM은 최경환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재임 기간(2014년 7월~올해 1월) 더 낮아졌다. 하지만 가계를 중심으로 대출이 늘어나고 부동산 가격이 상향 안정화하면서 은행의 전반적인 건전성은 좋아졌다.

올 들어 가계 대출 증가율이 낮아지고 있다. ‘속도 조절’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가계 대출은 유동화를 포함해 14%나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4월부터는 월 1.1~1.5%씩 늘어났다. 지금은 월 0.3~0.4% 늘어나면서 증가율이 최 전 부총리 재임 전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런 추세라면 연간 증가율은 4%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계 부채가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 정부가 안심전환대출이나 여신 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 대출의 건전성은 앞으로도 계속 양호하게 유지될 것이다.

반면 한계기업 위주의 기업 여신 건전성에 대해서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 주도 구조조정에 따른 과도한 충당금 적립 및 이익 감소가 예상된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한국투자증권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2500여개 한계기업의 은행권 신용공여 중 61%가 산업은행 등 특수은행으로 쏠려 있다. 시중은행은 ‘요주의 이하’ 여신 대비 82%의 높은 충당금 적립률을 보이고 있다. 구조조정으로 은행이 과도한 손실을 볼 확률이 작다는 뜻이다.

비(非)이자 부문이 성장동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의 손실 흡수력을 높이기 위한 자본 비율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자본 비율이 낮은 은행에는 부정적인 요인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의 구성 요소인 레버리지를 낮출 뿐 아니라, 위험자본이 적게 들어가는 사업 비중을 높여야 하므로 총자산이익률(ROA)도 떨어진다.

은행산업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은행들은 복합점포 설치, 인력 구조 변화, 핀테크(금융+기술)를 활용한 온라인 자문업과의 연계, 중(中)금리 대출 활성화 등 생존을 위한 변화에 나서고 있다.

[Cover Story] 순이자마진 줄었지만 연체율 낮아져…인터넷은행·중금리 대출로 수익 다변화
정체된 마진과 낮은 대출 증가세를 감안할 때 앞으로 이자수익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결국 비이자 부문이 앞으로 은행의 성장동력이 될 것이다. 국내 은행들은 비이자 부문에서 안정된 이익을 내고 있다.

수수료 이익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관리 부문은 기존 전업주의의 틀을 벗어나는 추세다. 은행·증권·보험 등 그룹 금융사의 업무 영역이 통합되면서 경쟁하는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수요 측면에서도 저금리 속 노후자금 대비로 연금이나 금융투자상품 등에 대한 니즈(수요)는 계속 커질 것이다.

chlee@truefrie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