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EV의 런칭 장소로 제주도를 선택했다. 제주도 스스로 전기차 선도 도시를 표방한 만큼 지역에 집중하는 것은 당연하다. 현대차 뿐 아니라 기아차, BMW, 닛산, 쉐보레, 르노삼성 등 전기차를 보유한 기업은 제주도에 강한 애착(?)을 나타낸다.

지난해까지 제주도에 보급된 전기차는 2,300대에 달한다. 충전시설도 곳곳에 잘 돼 있어 전기차 도시로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원희룡 제주도시자 또한 전기차 보급에 적극적이고, 관련 기업의 제주 진출을 독려한다.

[기자파일]까다로워진 EV 구매, 그래도 제주도밖에…

이처럼 제주도가 적극적인 보급 의지를 나타내자 정부는 올해 전기차 전체 보급물량의 절반인 4,000대를 제주도에 배정했다. 지난해 제주도에 주소가 등록된 도민이면 신청이 가능하다. 기존 전기차 외에 현대차가 아이오닉 EV를 더했으니 선택지도 넓다.

그런데 전기차 보급에 팔을 걷어붙인 제주도 또한 고민이 적지 않다. 전기차 증가는 반갑지만 전체적인 등록대수 확대는 해결 과제다. 다시 말해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추가 구매되는 것이어서 내연기관 대체 효과가 떨어진다는 얘기다. 버스와 택시는 물론 렌터카, 자가용까지 모두 전기차로 바꾸는 계획을 세운 제주도로선 전기차 보급이 곧 내연기관감소와 직결돼야 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제주도가 올해부터 도입한 전기차 구매 조건이 있다. 기존에 타던 내연기관차를 폐차하거나 중고 거래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방법이다. 이른바 내연기관 대체 역할을 전기차에 확실하게 부여하겠다는 의미다.

그러자 전기차 구매를 계획했던 소비자들이 주춤하고 있다. 전체 충전망을 고려할 때 이용에 어려움은 없지만 여전히 내연기관차의 편리성을 포기할 수 없어서다. 전기차를 세컨드로 활용하려던 소비자들이 구매에 쉽게 다가서지 못한다는 의미다.

이런 이유로 올해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 목표 4,000대가 모두 소화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선 현지 전문가들도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구매 대기자는 적지 않지만 타던 내연기관차를 처분하려는 이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연기관자동차를 줄이겠다는 제주도의 의지도 강력하다. 전기차 보급 자체를 탄소 배출 제로(0) 차원에서 선택한 만큼 내연기관을 대체해야 지원 취지에도 맞는다는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가 아이오닉 EV를 내놨는데, 타던 쏘나타를 처분하고 아이오닉을 구매할 사람은 얼마나 될까? 그것이 궁금하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기자파일]현대차 MDPS 논란이 던지는 교훈
▶ [기자파일]계륵되는 체어맨, 카이저는 돌파구
▶ [기자파일]스타들의 애마, 사실은 연출된 파파라치?
▶ [기자파일]OEM 국산차(?), 3만1,500대의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