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국가화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화재사고는 4,605건이 발생했다. 발화요인별로는 전기적요인 1,192건, 기계적요인 1,770건, 운전자 부주의 697건, 원인미상 542건, 교통사고 505건, 방화의심 117건, 방화 56건, 화학적요인 18건, 가스누출 12건, 자연적요인 7건, 기타 115건이다. 하루 평균 12.6건의 자동차화재가 발생해 연간 21명이 사망하고, 129명이 부상했다. 특히 화물차 사고는 승용차의 2,130건보다 적은 1,652건이지만 운행대수가 343만 대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화재사망률은 승용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 건 승용차든 화물차든 상관없이 원인미상의 화재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만큼 소비자와 제조사 사이엔 끝없는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어서다. 실제 서울중앙지법은 최근 쌍용자동차 렉스턴 화재사고에 따른 보상금액을 제조사가 부담하라는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원인은 있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원인을 알고 대처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제조사 책임을 인정한다는 취지다.

[칼럼]BMW의 솔직함이 갖는 의미

이런 가운데 BMW 화재사고도 연일 논란이다.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동안 6회의 화재가 발생해 주목을 받은 것. 특히 지난해 11월에만 집중적으로 5건의 화재사고가 나 화재위험차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연간 2,100건이 넘는 승용차 화재 중 11월에 5건이 발생했다고 위험차종으로 인식하는 건 지나치게 성급하다는 게 BMW의 입장이다. 게다가 일부 사고는 원인이 밝혀졌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여론 확산을 경계하는 중이다.

그런데 최근 BMW코리아가 안전사고 종합대책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원인미상의 화재사건에 대해선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조사에 철저히 협력하고, 평소 제대로 공식 서비스센터를 통해 관리받아왔다면 비록 원인불명이라도 보상한다는 게 핵심 방침이다. 제품을 판매한 기업으로서 도의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원칙을 밝힌 셈이다.

회사측은 소비자가 주의해야 할 점도 명시했다. 화재가 일어나는 자동차의 누적 주행거리가 대부분 10만㎞ 이상, 등록기준 10년 이상이 33%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연식과 주행거리가 오래될수록 검증된 유지· 보수· 관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BMW의 안전대책이 주목을 끈 배경은 자동차회사로는 처음으로 화재사고에 대한 솔직한 입장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단순히 국과수 협조뿐 아니라 보상은 물론 소비자 주의에 대한 당부까지, 이른바 아픔(?)마저 감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점이다. 제품 문제가 아니더라도 화재예방을 위한 캠페인은 물론 자체 관리기준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프리미엄'이란 제품뿐 아니라 기업이 소비자에 대한 책임을 다할 때 완성된다는 판단에 따른 선제적 조치다.

물론 대책을 내놨다고 헤서 모든 걸 해결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화재원인도 모르는 상황에서 사고에 대한 보상과 책임을 다하겠다는 기업의 공개적인 선언은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니다. 게다가 지금까지 화재사고에 대해 보상 등을 자발적으로 언급했던 자동차회사가 없었다는 점에서 이번 BMW의 결정은 용단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이유로 BMW의 안전대책 발표는 자동차업계에 상징적인 의미가 되고 있다. 지금도 연간 300건에 달하는 원인미상 자동차화재에 대해 모든 기업이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메시지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료를 태워 동력을 얻는 자동차의 특성 상 화재 위험은 늘상 존재한다. 그러나 위험에 대해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회사는 거의 없다. 그렇다고 소비자가 원인을 아는 건 더더욱 아니다. 이런 가운데 BMW의 행동에선 이른바 '책임의식'을 볼 수 있다. 그래서 BMW코리아의 자발적 보상 및 안전대책 발표는 '득(得)'이 될 수밖에 없다.

권용주 선임기자 soo4195@autotimes.co.kr

▶ [칼럼]자동차, 크기보다 맞춤형이 중요한 시대
▶ [칼럼]미래를 앞당겨 얻은 10만대
▶ [칼럼]삼성전자 대리점에서 BMW i3를 판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