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하대(下代)에 접어들면서 귀족의 유대의식의 약화로 골품제도가 붕괴돼가자, 진골 귀족세력의 분열이 극심했다.그러한 중대에서 하대로의 변동은 왕권의 전제주의적 경향에 대한 귀족들의 반항으로 초래됐다.그 결과 하대의 신라는 귀족적이고 연립적인 방향을 걷게 되면서 155년간 무려 20명의 왕이 교체됐다.김헌창은 태종무열왕계로서, 그의 부친 상대등 김주원은 선덕왕이 죽은 뒤 당연히 왕이 돼야 했지만 김경신(원성왕)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말았다.이에 대한 불만이 폭발해 당시 웅천주 도독으로 있던 김헌창은 대규모의 난을 일으키고 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이라고 정했다.김헌창이 무진주·완산주·청주·사벌주의 4도독을 위협하면서 국원(國原:忠州) ·서원(西原:淸州) ·금관(金官:金海) 등의 관리들과 군 ·현의 수령들은 항복해 한때 충청 ·전라 ·경상 등지의 지역이 이에 호응했다.청주 도독 향영은 도망쳐 퇴화군(堆火郡:密陽)으로 갔으며, 한산 ·우두 ·삽량 ·패강 ·북원 등지에서는 수비에 임했다.완산의 장사 최웅은 영충의 도움으로 서울로 도망쳐 왕에게 보고했다.왕은 서울을 수비하게 하고 장웅 ·위공 ·제릉 등에게 김헌창을 격퇴하게 했다.이에 앞서 왕이 못된 김헌창은 무열왕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807년(애장왕 8)과 814년(헌덕왕 6) 1월 시중에 임명됐다가 물러난 뒤, 813년(흥덕왕 5) 정월 무진주 도독이 되고, 중앙으로 들어와 다시 814년 8월 시중에 임명되어 1년 5개월간 재직하다가 퇴임했다.816년 정월 다시 외직으로 나가 청주도독이 되고, 821년 4월 웅주도독이 되는 등 인사상 홀대를 받았다.김헌창은 한때 신라의 9주5소경(九州五小京) 가운데 4주3소경을 장악해 기세를 올리기도 했지만, 한달 만에 관군에게 패해 웅주에서 자살했다.그 뒤 그의 아들 범문이 또다시 고달산적 수신 등과 난을 일으켜 한산(漢山)에 입도(立都)하려고 하였지만 실패했다.이후 무열왕 후손들은 왕위계승쟁탈전에서 완전히 밀려나면서 비운의 왕족이 된다.[온라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복면가왕` 어우동 후보 수빈, 아이돌 역대급 노출 화보 보니…ㆍ이유영 "허벅지로 수박 터뜨려"…대체 왜?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ㆍ`종로 출마` 오세훈 전 시장, `어마어마한` 재산 대체 얼마야?ㆍ치주염, 구취 막는데 이 방법이 최고ⓒ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