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해체 연구센터 건립 일정 1년 늦춰져…미래부 "차질 없을 것"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자력 해체를 위한 기술 개발을 전담할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원자력해체 연구센터)의 건립 일정이 1년 늦춰지게 됐다.

'100% 자력 해체'란 목표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래부는 원자력해체 연구센터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지난해 마무리하고 올해 사업에 착수하려 했으나 예타를 통과하지 못했다.

예타 심사위원들이 원자력해체 연구센터를 단순한 원천기술 연구기관이 아니라 실제 원전 해체작업을 맡게 될 산업계의 상용기술 수요까지 소화할 수 있는 기관으로 보완하라고 요구했는데 이 보완 작업을 매듭짓지 못했기 때문이다.

원자력해체 연구센터는 2012년 마련된 원전 해체기술 개발 10개년 계획에 따라 올해 건립에 착수해 4년 뒤인 2019년 완공될 예정이었다.

이 센터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아직 한국이 확보하지 못한 원전 해체 관련 각종 원천기술·상용기술을 개발하면 이를 실험·검증하는 테스트베드(시험대) 역할을 맡게 된다.

원전 해체기술 확보를 위한 핵심시설인 셈이다.

하지만, 예타 통과가 지연됨에 따라 올해 착수는 물 건너갔다.

미래부 관계자는 "산업부와 협의해 예타 심사를 위한 보고서를 보완하고 상반기 중 예타를 마무리할 것"이라며 "그러면 내년 예산안에 기본설계 등을 위한 사업비를 반영해 내년 중 사업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애초 일정보다 1년 늦춰진 2020년 연구센터가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는 올해 중 원자력해체 종합센터가 들어설 부지도 결정할 예정이다.

그래야, 내년부터 예산을 확보해 부지 매입 등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부산, 울산, 경북 등 8개 지방자치단체가 정부에 이 시설의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상황이어서 부지 선정을 놓고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문제는 원자력해체연구센터의 건립 일정이 늦춰지면 원전 해체를 위한 기술 개발도 늦춰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정부는 고리 원전 1호기 해체를 원전 해체기술 확보의 계기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원전 해체기술을 실증·축적하고 나아가 수출산업화한다는 게 정부 복안이다.

조석 한국수력원자력 사장도 "우리 기술로 고리 1호기 원전을 해체할 것이며 부족한 기술은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외국업체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할 가능성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고리 1호기는 지난해 6월의 영구정지 결정에 따라 계속운전 만료일인 내년 6월 18일까지 가동되고서 운전을 멈추게 된다.

이어 한수원은 2022년 6월 이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해체계획서를 내야 하는데 이때까지 자력으로 원전 해체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외국 업체나 기관으로부터 사와야 한다.

원자력해체 연구센터가 2020년 완공되더라도 1~2년의 시험운영 기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비춰보면 시간이 빠듯하다.

미래부 관계자는 "내년 중 원자력해체 연구센터 건설에 착수하면 고리 1호기 자력 해체라는 일정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