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KS 인증’ 받은 장례용어들

“망자, 망인, 사자, 고인 등이 함께 쓰이고 있는데, 이 가운데 ‘고인’을 표준용어로 삼는다.”

“조문은 쓰지 말고 ‘문상’을 표준으로 한다.”

“상제나 주상은 버리고 ‘상주’를 표준용어로 한다.”


2003년 1월 정부에서 장례식장 표준용어 제정에 나섰다. 국어정책을 책임지는 문화체육관광부도, 우리말 실태를 조사하고 표준을 정하는 국립국어원도 아니었다. 표준 장례용어를 발표한 곳은 국가기술표준원이었다.

기술표준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국가 산업규격을 관장하는 곳이다. 2000년대 들어 장례산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자 이용자 편의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장례용어의 KS(Korean Standard)를 정한 것이었다. 일제 이후 왜곡된 의례(儀禮)의 본래 의미를 되찾는다는 명분도 더해졌다. 부음을 ‘부고’로 바꾸고 방명록을 ‘부의록’으로, 영안실을 ‘안치실’로 쓰도록 한 게 그런 사례들이다.

하지만 ‘말글 시장’에선 정부가 표준을 정한다고 해서 곧바로 실생활에 뿌리내리는 것은 아니다. 언어에는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언중이 망자나 망인, 사자 같은 말보다 ‘고인’을 더 많이 쓰는 것은 그 말이 돌아가신 이를 높여 부르는 표현으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언중에 의해 쓰임새가 커졌다.

그러나 조문과 문상의 관계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정부에서 KS를 정할 당시 조문(弔問)은 ‘일본식 표기며 문의를 애도한다는 뜻이 돼 엉뚱한 의미’란 점을 들어 ‘문상(問喪)’을 쓰도록 권장했다. 하지만 언중은 문상보다는 조문을 여전히 압도적으로 많이 쓴다. 그것은 지난달 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 기간 내내 언론 보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주(喪主)’도 조심해서 써야 할 말이다. 김 전 대통령 서거 나흘째인 지난달 25일 눈에 띄는 사진 한 장이 올라왔다. 사진공동취재단이 보내온 사진설명에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25일 (중략) 조문한 뒤 상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고 돼 있었다. 고인과 전 전 대통령 간 오랜 ‘악연’에 마침표를 찍는 상징적 장면으로 여러 언론사에서 이 사진을 실었다.

그런데 이 사진설명에는 이상한 표현이 하나 있다. ‘상주들’이란 게 그렇다. 상주란 ‘주가 되는 상제’로 대개 장자(長子)가 맡는다. 여기서 ‘상제(喪制)’란 부모나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 거상 중에 있는 사람으로, 이는 여럿이 될 수 있다. 상제 가운데 맏이를 ‘맏상제’라 하는데, 이 사람이 곧 상주다. 장례식 과정에서 최고결정권자라고 보면 된다. 그러니 ‘상주들’이라고 하면 잘못 쓴 말이다. ‘상주’와 인사를 나눈 것이거나 아니면 ‘유족들’과 인사를 나눴을 것이다. 흔히 ‘맏상주’란 말도 쓰지만 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치상 맞지 않는 말이다. 그냥 상주 또는 맏상제라 하면 된다.

[국어와 영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요즘엔 상가에서 곡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지만 본래 우리 장례 문화에선 곡을 하는 게 예법이었다. 문상객이 들면 상주가 “아이고, 아이고” 하며 곡을 했다. 그런데 이게 실제론 쉬운 게 아니다. 부모가 돌아가셨으니 슬퍼서 자연스레 나오면 별 문제가 없겠는데, 집안 어르신들이 시켜서 하는 경우라면 여간해선 잘 나오지 않는다.

어찌 됐건 이 곡소리도 아무렇게나 하면 안 된다. ‘표준 곡소리’가 있기 때문이다. ‘어이구’도 아니고 ‘아이구’도 아니며 ‘아이고’라고 해야 한다. 우리 사전(표준국어대사전)에는 ‘우는 소리, 특히 상중에 곡하는 소리’를 ‘아이고’라고 올려놓았다. ‘어이구’는 고인 앞에서 어감이 좀 건방져 보일 듯하니 안 될 것 같다. ‘아이구’라고 한다고 해서 누가 뭐랄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래도 기왕이면 깔끔하게 표준어인 ‘아이고’라고 하는 게 좋겠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 최후의 수단 last resort

last resort는 단순히 ‘휴양지’라고만 알고 있었던 resort에 놀랍게도 ‘수단’이란 뜻도 있답니다.
last resort는 단순히 ‘휴양지’라고만 알고 있었던 resort에 놀랍게도 ‘수단’이란 뜻도 있답니다.
오늘도 여전히 수능에 나오지 않는 SAT, GRE 수준의 단어들을 외우느라 고생인 학생들을 위해 지난 시간에 이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기초 단어들로 텝스 어휘 정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lace an order(주문하다) 영어의 거의 모든 명사는 동사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장소’라는 뜻을 가진 place에 ‘~에 놓다’는 뜻도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학생이 정답인 place를 못 찾는 경우가 많은데, place an advertisement라고 하면 ‘광고를 내다’는 뜻이 된답니다.

last resort(최후의 수단) 단순히 ‘휴양지’라고만 알고 있었던 resort에 놀랍게도 ‘수단’이란 뜻도 있답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동사로는 ‘의지하다’는 뜻도 있어 resort to force라고 하면, ‘힘에 호소하다’는 표현이 됩니다.

from scratch(맨 처음부터) 그저 ‘흠집’이나 ‘긁다’라고만 외웠던 scratch에 ‘출발선(그어놓은 금)’이란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원점에서 시작하다’는 말을 할 때, from scratch라는 표현을 쓴다고 하네요.

bring home the bacon(생활비를 벌다) 우리에게 밥과 김치가 주식이듯이, 영어에서도 bread and butter라고 하면 ‘버터 바른 빵’ 외에도 ‘생계’ 혹은 ‘생활수단’이란 뜻이 된답니다. ‘생계를 유지하다’고 할 때, bacon을 쓰는 것도 같은 이유죠. Both of us bring home the bacon이라고 하면, ‘우리는 맞벌이 부부다’는 뜻으로도 번역 가능하다는 것 꼭 잊지 마세요.

foot the bill(돈을 지불하다)은 15세기께 bill(청구서)의 foot(밑부분)에 청구 내역을 자세히 기재하던 데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그래서 foot은 동사로 ‘합산하다’는 뜻을 갖게 됐으며, 오늘날에도 foot up an account(셈을 합계하다)라는 식으로 쓰이고 있답니다. 그런데 foot이 시간이 흐르면서 ‘합산하다’는 의미를 넘어 ‘지불하다’는 의미까지 갖게 된 것이랍니다. ‘발’이라고만 외운다면 정말 큰 코 다치겠죠?

[국어와 영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all walks of life(모든 계급의 사람들) foot과 함께 초등학생 단어라고 무시하던 walk에 ‘걷다’는 뜻 외에도 ‘분야’ 혹은 ‘(사회적) 지위’ ‘직업’이란 뜻도 있답니다. walk를 ‘내가 나아갈 길’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단어는 아는데 해석이 안 된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사라질 때까지 기초 단어들로 고급 표현을 알아보는 노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도 ‘우리가 안다고 착각하는 단어들’로 텝스 어휘 정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시원 선생님

배시원 선생님은 호주 맥쿼리대 통번역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배시원 영어교실 원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 등 대학과 김영 편입학원, YBM, ANC 승무원학원 에서 토익·토플을 강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