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5] "이미 사라진 산업군 지식 가르치는 한국 대학"
“한국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은 계속 늘어나는데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지는 것은 참 ‘슬픈 현상’입니다. 이미 없어진 산업군이나 기업 현장에서 쓸모없는 기술과 지식을 여전히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채드 에번스 미국 국가경쟁력위원회 부위원장(사진)은 5일 ‘세계를 바꾸는 기술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강단에 올라 “기업은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한 기술이 무엇인지 대학에 알리고, 대학은 실무적인 기술을 습득한 인재를 최대한 많이 배출해내려고 노력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에번스 부위원장은 “미국은 국가경쟁력위원회 등을 통해 기업과 대학 간 ‘기술 매칭’을 성사시키는 데 매년 수십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다”며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직업교육을 받은 이들이 적당한 직장을 찾지 못하고 방치되는 사회적 비효율은 없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세션에서 ‘이머징 마켓에서의 우수인재 관리’를 주제로 발표한 폴 에번스 프랑스 인시아드 명예교수 역시 “인시아드에서 개발한 ‘글로벌 인재 경쟁력 지표’에서 한국 순위는 29위로 20위권 밖”이라며 “공교육 분야에 대한 점수는 높지만 기술교육부문이 굉장히 약한 탓에 순위가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기술교육부문의 경쟁력이 높아지려면 기업-대학, 기업-정부 간 긴밀한 협업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직업교육 시스템이 좀 더 유연해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에번스 명예교수는 “기술 혁명의 속도가 점차 가속화하고 있는 지금 20년간 공부한 것을 밑천으로 40~45년간 일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한국도 ‘평생 교육’이라는 개념을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위스는 12세 때부터 ‘앞으로 무엇이 되고 싶은가’를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15세에 직업을 선택한다”며 “학생의 70%는 학문 대신 직업교육을 선택하지만 스무 살이든 마흔 살이든 언제든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새로운 기술과 학문을 배울 기회가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에번스 부위원장도 “경직적 사고를 버리고 ‘언제든 대학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시스템이 정착했을 때 혁신적인 기술을 갖춘 인재가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성미/이현동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