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원자로 도입 타당성 공동조사 추진

정부가 이집트와 건설ㆍ인프라ㆍ원자력 분야 등에서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이집트의 대형 인프라 사업에 국내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고, 한국형 원자로와 관련한 도입 타당성 공동조사도 추진키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6일 이집트 카이로 포시즌즈호텔에서 열린 '제2차 한ㆍ이집트 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리 측은 이집트의 건설ㆍ인프라 사업과 관련해 카이로 메트로 전동차 구매, 전동차 전력시스템 공급, 이집트 국철 신호개수, 고속철도 계획 등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했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금융조달 지원을 위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집트 측은 교통뿐 아니라 전력ㆍ수자원 분야에도 우리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둬달라고 요구했다.

원자력 분야의 협력방안도 마련했다.

양국은 한국형 원자로(SMART)와 관련한 기술협력 워크숍, 도입 타당성 공동조사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원자력 안전규제 분야에서도 원자력 규제기관 간 기술정보교환 협력약정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집트가 한국형 개발모델을 전수해달라고 함에 따라 양국은 경제개발경험공유사업(KSP)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한국의 전국경제인연합과 이집트의 경제인연합회 간 채널인 한ㆍ이집트 경제협력위원회를 강화해 민간부문 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양국 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 변화된 경제여건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이중과세방지협정 개정을 추진한다.

이번 회의에 우리 측은 박재완 기재부 장관을 비롯해 외교부, 국토부, 고용부 등 8개 부처ㆍ기관이, 이집트 측은 뭄타즈 엘 사이드 재무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산업통상부, 기획국제협력부, 전력에너지부, 교육부, 고용부 등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pseudoj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