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한 '너구리'…기업 죽이고 살리는 상품정보의 명암
“이미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기술표준원에서 안전하다고 인증한 제품인데 소시모(소비자시민모임)는 소비자를 위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오인시켰습니다.” 류영기 한국피앤지 커뮤니케이션즈본부장은 한 달 전 일을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소시모가 지난달 9일 한국피앤지의 섬유유연제 ‘다우니’에 유독 물질이 함유됐다고 발표하자 19% 수준이던 이 제품의 한 대형마트 시장점유율은 3.4%까지 곤두박질쳤던 것.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1주일 만에 ‘안전한 제품’이라고 밝혔지만 이 제품의 점유율은 아직도 1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류 본부장은 “제품의 안전성과 원료 수급, 현지 법규 등을 다 고려해서 제품을 들여오는 것”이라며 “(한국피앤지가) 안전성을 실험한 자료를 줬는데도 소시모가 그런 발표를 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농심도 최근 너구리 라면 사건으로 홍역을 치렀다. 식약청이 지난달 25일 이 회사의 ‘얼큰한 너구리’ 등 6개 제품에 대해 ‘안전하지만 국민의 우려를 고려해’ 자진 회수 명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식약청은 지난 6월 해당 제품을 첫 검사했을 때 “발암물질 ‘벤조피렌’ 검출량이 적어 안전하다”고 결론지었고, 회수 명령을 내리기 하루 전까지만 해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러나 국회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 등의 잇단 질의에 “추가 조사를 거쳐 부적합 원료를 쓴 라면을 회수하도록 하겠다”고 꼬리를 내렸다.

이처럼 식품 등 생활필수품에 대한 ‘안전기준’이 논란을 빚고 있다. 안전하다면서도 부정적인 여론을 의식해 회수 명령을 내려 오히려 소비자들을 더 불안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물론 각종 소비자단체가 발표하는 소비재 정보에 대해서도 말이 많다. 다양한 정보로 소비자에게 보다 객관적인 선택권을 갖게 하는 순기능이 있다는 주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혼란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다.

3월까지만 해도 30.6%였던 일동후디스 분유 점유율은 8월 환경운동연합이 제기한 ‘세슘 분유’ 논란을 겪으면서 5.5%로 뚝 떨어졌다. 최근에야 20% 수준의 점유율을 회복했다. 이 회사는 “세슘 검출 분량이 기준치의 1000분의 1 수준으로 인체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환경운동연합을 상대로 10억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

소비자단체 등이 ‘아니면 말고’ 식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사이에 해당 기업은 멍들고, 소비자들도 상처를 받게 된다는 지적이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실제로 문제가 있든 없든 간에 한번 이름이 거론되는 것만으로도 판매가 중단되다시피 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는다”고 하소연했다.

민지혜/최만수/임현우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