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부검
이집트의 소년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이 발굴된 것은 1922년. 그러나 그의 사인이 제대로 밝혀진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독일 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지난해 유전자 분석과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를 동원해 투탕카멘 미라를 부검했다. 결과는 유전적 질환으로 면역체계가 약해진 상태에서 다리 골절상을 입고 말라리아에 걸려 숨졌다는 것이다. 그가 죽은 시점이 BC 1352년이었으니 무려 3362년 만에 사인이 명확해진 셈이다.

1991년 알프스에서 발견된 얼음인간 외치(Oetzi)의 사망 원인은 화살이 쇄골하 동맥을 관통하면서 일으킨 과다출혈이었다. 미토콘드리아 분석 검사까지 한 결과, 그의 피를 이어받은 자손이 5300년이 지난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는 것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부검의 위력이다.

부검은 눈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샅샅이 살피는 검안으로 시작된다. 냄새도 일일이 맡아본다. 그 다음 메스로 가슴부터 배 아래까지를 가른 뒤 장기를 살펴본다. 장기는 심장-폐-간-비장-신장의 순서로 떼어내 무게를 잰다. 출혈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머리는 마지막에 다룬다. 뇌를 떼어내고 경막과 두개골의 상태를 보는데 충격을 살피기 위해서다. 타살 흔적을 찾기 위해 근육 등에 남아 있는 상처 부위는 집중적으로 검사한다. 다양한 화학반응 검사와 생물학적 검사가 병행된다. 모든 검사가 끝나면 장기나 뼈를 제자리에 놓고 다시 꿰맨다. 완벽한 모습으로 되돌려 놓는 것이 부검의로서의 올바른 태도라니 무척이나 힘든 작업이다.

17일 급사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도 이튿날 부검을 받았다고 한다. 북한 당국이 발표한대로 급성 심근경색이라면 사망 직후 부검으로는 좀처럼 사인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심장 근육 뒤쪽에 연황색이나 황갈색 띠가 나타나야 하는데 심근 괴사의 이런 흔적이 생기려면 적어도 반나절은 흘러야 하기 때문이다. 김정일 사망 발표가 이틀이나 늦어진 데는 그런 이유도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 의료계의 견해다.

동서를 막론하고 사망한 독재자의 권력을 넘겨받으려는 자들은 주요 인물들이 입회한 가운데 부검을 서두른다. 암살설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김정일의 부검에도 김정은과 장성택 김경희 리영호 등 실세들이 입회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이 권력을 순탄하게 넘겨받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부검이 이뤄졌다 한들 그 결과를 믿고, 믿지 않고는 또 다른 문제이다.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j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