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든 챔피언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을 펴야 할까. 많은 전문가들은 세계시장 점유율 1~3위를 다투는 히든 챔피언이 1200개에 육박하는 독일의 사례를 참조해 한국에 알맞은 육성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독일의 히든 챔피언들은 대개 가족기업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1200여개의 히든 챔피언 가운데 150년 이상 된 장수 가족기업이 1000여개에 달한다. 가족이 지분을 나눠 경영을 책임지고 가업(家業)을 승계하는 구조다. 가족기업은 독일기업 전체 매출의 41.5%,고용의 57.3%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가족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왔다. 대표적인 정책이 가업승계 비용 줄이기다. 독일 정부는 2007년 세법을 개정해 가업 상속 당시의 고용 수준을 이후 10년간 100% 유지하면 상속세를 모두 면제해줬다. 그런데도 "부족하다"는 여론이 계속되자 지난해 말 상속세를 더 완화했다. 7년간 고용 수준을 유지해도 상속세를 100% 면제하고,5년간 90%의 고용을 유지하면 85%를 면제해주는 내용이다.

중소기업의 가업 승계에 대한 독일 국민의 정서도 '부의 대물림'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기업과 사회에 대한 책임'이란 긍정적 인식이 강하다.

인력 양성 정책도 독일의 중소 · 중견기업을 히든 챔피언으로 키우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1970~1980년대 독일 경제는 오일 쇼크와 마르크화 절상,일본의 부상으로 상당히 위축됐다. 독일 정부는 중소 · 중견기업에 고급 인력을 파견하는 정책을 폈다. 석 · 박사 인력이 중소 · 중견기업에 취직하면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정책을 10년 이상 지속했다.

정부는 또 중소기업이 손쉽게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곳곳에 기술 센터를 두고 정부나 대학이 지원하는 '기술 확산' 정책을 구사했다. 한국은 지난 3월 '중견기업 육성대책'을 발표하면서 독일식 히든 챔피언 육성 모델을 벤치마킹했지만 가업 승계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전문인력 양성 방안 등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