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패션위크, 한국 작품으로 개막
한국의 젊은 패션디자이너들이 미국 뉴욕에서 우리나라의 패션감성을 선보였다.
9일 저녁(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링컨센터에서 개막된 뉴욕 패션위크는 우리나라의 의상 디자인을 소개하는 '콘셉트 코리아 Ⅱ'를 메인 무대의 첫날 이벤트로 올렸다.
뉴욕 패션위크가 본 무대에 한국 작품을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구광역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공동주최한 이번 프로젝트에서 우리나라는 국내외 심사를 통해 선정된 패션디자이너 곽현주, 이주영, 이진윤 씨가 각자의 스타일이 담긴 작품을 내놓았다.
곽씨는 자기표현력이 강한 적극적인 여성을 겨냥한 실크와 니트 소재의 여성복을 선보였고 이주영 씨는 검정과 회색을 위주로 코팅된 린넨, 가죽 소재의 클래식한 남성복을 출품했다.
이진윤 디자이너는 이국적 느낌의 가죽소재 여성복과 실크로 만든 드레스 등을 내놓았다.
뉴욕 패션위크는 파리와 밀라노, 런던 패션위크와 함께 세계 4대 패션행사의 하나로 각국 언론과 백화점 등 주요 바이어, 디자이너 등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콘셉트 코리아는 이 무대를 통해 세계에 한국의 패션을 소개하고 대형 백화점을 비롯한 구매자들과 여론 지도층, 소비자들에게 한국 패션의 창의적인 스타일을 인식시켜 패션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 디자이너 선발에 참여했던 IMG 그룹의 뉴욕패션위크 총괄 프로듀서 크리스티나 놀트와 하퍼스 바자의 메리 엘리스 스테판슨 총괄 에디터, 유명 방송 스타일리스트 로버트 베르디 등 해외 평가위원과 허스트 매거진 뉴욕본사 부사장인 킴 클레어 보든 등 국내외 언론 매체들이 참석했다.
또 미국에 진출한 한국가수 원더걸스와 핸드백 디자이너 임상아 씨 등도 행사장을 찾아 한국 디자이너들의 뉴욕진출을 응원했다.
행사를 마친 후 디자이너 이진윤은 "한국의 패션을 세계 무대에서 알리는 이런 행사를 통해 앞으로 한국 패션이 큰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정동천 이사는 "이번 행사는 국내 디자이너들의 미국 진출을 통한 국가브랜드 이미지 높이기 프로젝트"라면서 "한국 디자이너의 현지화 전략으로 전 세계에 우리 패션의 수준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주종국 특파원 satw@yna.co.kr
9일 저녁(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링컨센터에서 개막된 뉴욕 패션위크는 우리나라의 의상 디자인을 소개하는 '콘셉트 코리아 Ⅱ'를 메인 무대의 첫날 이벤트로 올렸다.
뉴욕 패션위크가 본 무대에 한국 작품을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구광역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공동주최한 이번 프로젝트에서 우리나라는 국내외 심사를 통해 선정된 패션디자이너 곽현주, 이주영, 이진윤 씨가 각자의 스타일이 담긴 작품을 내놓았다.
곽씨는 자기표현력이 강한 적극적인 여성을 겨냥한 실크와 니트 소재의 여성복을 선보였고 이주영 씨는 검정과 회색을 위주로 코팅된 린넨, 가죽 소재의 클래식한 남성복을 출품했다.
이진윤 디자이너는 이국적 느낌의 가죽소재 여성복과 실크로 만든 드레스 등을 내놓았다.
뉴욕 패션위크는 파리와 밀라노, 런던 패션위크와 함께 세계 4대 패션행사의 하나로 각국 언론과 백화점 등 주요 바이어, 디자이너 등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콘셉트 코리아는 이 무대를 통해 세계에 한국의 패션을 소개하고 대형 백화점을 비롯한 구매자들과 여론 지도층, 소비자들에게 한국 패션의 창의적인 스타일을 인식시켜 패션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 디자이너 선발에 참여했던 IMG 그룹의 뉴욕패션위크 총괄 프로듀서 크리스티나 놀트와 하퍼스 바자의 메리 엘리스 스테판슨 총괄 에디터, 유명 방송 스타일리스트 로버트 베르디 등 해외 평가위원과 허스트 매거진 뉴욕본사 부사장인 킴 클레어 보든 등 국내외 언론 매체들이 참석했다.
또 미국에 진출한 한국가수 원더걸스와 핸드백 디자이너 임상아 씨 등도 행사장을 찾아 한국 디자이너들의 뉴욕진출을 응원했다.
행사를 마친 후 디자이너 이진윤은 "한국의 패션을 세계 무대에서 알리는 이런 행사를 통해 앞으로 한국 패션이 큰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정동천 이사는 "이번 행사는 국내 디자이너들의 미국 진출을 통한 국가브랜드 이미지 높이기 프로젝트"라면서 "한국 디자이너의 현지화 전략으로 전 세계에 우리 패션의 수준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주종국 특파원 satw@yna.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