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통일세'에 대한 첫 언급을 해 화두에 올랐다.

이 대통령은 "통일은 반드시 온다"며 "통일세의 현실적인 방안도 준비할 때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에 관한 사회 각계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여당 내부에서는 "시기상조"라는 의견과 "지금이야말로 통일세를 검토할 때"라는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일부 시민 계층에서는 통일을 염두에 둔 재원 마련은 타당한 것이지만 현재 시점에서의 통일세 마련은 4대강 사업,지자체 재정곤란 등의 빚 청산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DJ 시절부터 논의되어 온 통일세의 공론화는 통일 과정의 당연한 과제라고 여겨진다.

독일의 통일비용이 예상보다 30배나 높은 2조달러 가까이 들었듯이,한반도의 통합비용 역시 수백억달러가 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천문학적인 양의 돈이 요구되는 만큼,이를 위한 단계적인 재원의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최근 들어 더욱 긴박하게 흘러가는 남북 간의 대치를 생각해보면 통일세의 제안은 '빛 좋은 개살구'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천안함 사건,끊임없이 계속되는 북의 NLL 침범,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대북 제재 강화 등으로 인해 남북관계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남북관계의 개선을 꾀하지 않고 재정적 준비를 먼저 생각하는 것은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

수천년의 역사를 함께한 민족으로서 북한과의 통일은 언젠가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나,이를 위한 선결 과제는 '재원'이 아닌 '동질감 회복'과 같은 정신적 통일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예로 독일의 과정을 보아도 그들은 먼저 독일 민족의 동일성을 강조하고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을 도모해서 빠른 통일을 이뤄냈다.

이와 같은 정신적 통일의 기반을 밑바탕으로 정치적 통합,경제적 통합이 뒷받침된다면 우리의 통일도 막연한 먼 훗날의 일이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통일세 논란을 종식하고 통일에 대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 대통령이 나서서 통일세의 타당성을 설명해야 한다.

지난 번 8 · 15 광복절 경축사와 같이 단지 '통일세'라는 말 한 마디만 던질 것이 아니라 실제로 관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 노력을 보여야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뢰 속에서 국민과 정부는 진정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방면에서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통일세에 대한 원만한 해결과 함께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이 손에 손잡고 함께 평화의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김유진 생글기자(포항 제철고1) priness7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