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산업기술 연구의 중추인 일본산업기술총합연구소(AIST)는 연구 역량의 대부분을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분야에 집중 투입한다. '죽음의 계곡'은 AIST 내부에서 꿈(기초연구)과 현실(제품)의 중간 지점을 일컫는 말로 '본격 연구'라고도 부른다. 대학의 기초 연구를 '시장에서 통하는 제품'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그만큼 어렵고 중요하다는 의미에서다.

AIST에 따르면 각 연구 단계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 기초연구 단계에선 새로운 지식의 발견과 설명이 핵심이고,제품화 단계에선 실용화가 관건이다. 반면 '죽음의 계곡'단계에선 경제 · 사회적 니즈(요구)에 대응해 기존에 확립된 타 분야의 지식을 폭넓게 선택해 융합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시한다.

AIST의 핵심 연구 분야는 △나노기술 △생명과학 △정보통신 · 전자 △환경 · 에너지 △지질 △표준 · 계측분야 등 크게 6가지다. 기존 주력 산업 외에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전 지구적으로 해결이 필요한 분야에 집중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AIST는 2001년 4월 옛 통상산업성(현 경제산업성) 산하 15개 연구소가 통합돼 탄생했다. 1990년대 이후 일본 사회의 고질적 문제로 떠오른 경기 불황과 저출산 · 고령화를 비롯 환경 오염,지구 온난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대형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책 연구소의 대형화가 필요하다는 논리가 통합 배경이다.

인원은 총 3066명이며 이 중 연구직이 2370명이다. 1년 예산은 1020억엔(약 1조4000억원)이며 예산과 인사에서 독자적인 결정권을 가진 독립 행정법인이란 게 특징이다. 정부의 직접적인 예산 통제를 받는 국내 연구소와는 대조적이다.

AIST 조직은 실제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연구추진 부문'과 외부 기관과 협력 기능을 수행하는 '연구조정 부문',연구개발을 관리하는 '관리 부문'으로 나뉜다. 핵심은 '연구추진 부문'이며 총 53개 연구 단위로 구성돼 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