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어제 녹색기술을 통한 벤처성장, 벤처투자 확대 및 회수시장 활성화, 젊은 세대의 도전정신 고취를 위한 청년 기업가정신의 확산, 대기업 · 성공벤처기업의 사내 또는 분사창업 촉진 등을 골자로 하는 제2기 벤처기업 육성대책을 내놨다. 이를 통해 2012년까지 신규 벤처 1만개를 추가해 총 3만개의 벤처기업 육성과 신규 일자리 20만개 창출(創出)로 청년실업을 해소하겠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한마디로 성장잠재력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과거 외환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했던 2000년대 초반과 같은 벤처창업 붐을 되살리자는 얘기다. 사실 90년대 말과 지금을 비교하면 20,30대의 젊은 벤처사업가들의 비중은 50%대에서 10%대로 추락했다.

한국은행 ,삼성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기업가정신 지수 역시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사라지는 건 시간문제다. 게다가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만을 찾고 도전적인 창업을 기피할 경우 일자리 문제의 해결도 요원할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벤처정신의 부활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는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문제는 창업에 대한 도전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의 창업환경이 개선되고 있다고 하지만 세계은행 평가에 따르면 아직도 50위권 밖이다. 솔직히 열악(劣惡)한 창업환경에서 청년들 보고 무작정 창업에 나서라고 하는 것은 해법이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정부가 모든 위험을 부담하는 식으로 극심한 도덕적 해이를 초래하거나 거품을 만드는 것도 피해야 할 일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투자 중심의 벤처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대기업, 성공한 벤처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기술창업의 저변을 넓히겠다고 방향을 잡은 것은 잘한 일이다.

다만 실패하더라도 재도전이 가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데 정부가 좀 더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선진국과 달리 우리의 경우 한번 실패하면 재기가 불가능하다.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는 얘기다. 기업 만큼이나 기업가도 소중한 사회적 자산이다. 그런 인식이 있어야 청년들도 실패를 두려워 않고 기꺼이 창업에 나서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