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와 기획재정부 간 때 아닌 인사교류 논의가 활발하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전 부위원장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 단장으로 가고 권혁세 전 사무처장이 그 뒤를 이은 게 계기가 됐다. 여기에 김영과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이 증권금융 사장으로 옮기면서 200명이 채 안되는 금융위 조직에 1급 자리가 두 개나 생겨 연쇄 승진이 가능해지자 만성적인 인사적체에 시달려온 기획재정부가 이 틈을 헤집고 들어온 것이다.

애초 재정부는 G20단장 자리를 '빼앗겼다'는 이유로 1급과 국장급 각 한 자리 등 2곳을 '보상 차원'에서 내놓으라고 얘기했고,금융위는 국장급 한 자리만 받겠다고 버텼다. 재정부가 청와대까지 동원하면서 금융위를 압박하자 금융위는 1급 자리를 받는 대신 재정부 국장급 한 자리를 달라고 수정 제의했고,결국 이렇게 바터(barter · 교환)가 이뤄지는 분위기다.

뿌리는 같고 몸만 다르다는 점에서 두 부처는 모두 이러한 인사교류를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유기적인 업무협조를 강화하고 조직 내 인사적체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win-win)할 수 있는 결과라고 말하는 관료들도 있다.

금융위의 한 간부는 "썩 내키지는 않지만"이라는 단서를 달면서도 "어차피 원활한 금융정책의 집행을 위해서는 재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현실적인 한계를 인정했다. 구조조정기금이나 금융안정기금 등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올해 신설된 각종 장치들도 정부의 지급보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재정부가 거들지 않았다면 어려웠다는 점도 예로 들었다. 또 다른 간부는 "이번에 오는 재정부 관료들도 이전에 금융정책 업무를 담당했던 경험이 있다"며 "재정부가 힘의 논리를 앞세워 금융위를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는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이번 교류를 전형적인 '모피아식 나눠먹기 인사'로 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누가보더라도 이번 인사는 재정부의 인사편의 봐주기가 우선순위에 놓인 것 아니냐"면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일부에서는 "이번 정부 들어 재정부에서 금융정책기능을 떼낸 금융위로 일원화시킨 취지가 무엇이겠느냐"면서 "정부 출범 후 2년 가까이 가만 있다가 금융위에 인사여유가 생긴 지금에서야 부랴부랴 인사교류에 나선 이유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이심기 경제부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