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종시의 원안 수정을 공식화하고, 기업 교육 과학 기능 중심의 자족도시 건설을 적극 추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다각적인 기업 유치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세종시 입주 기업에 토지 매입가격을 대폭 깎아주고 취득세 등록세 법인세 등 각종 세제혜택도 줄 방침이라고 한다. 할당 받은 토지에 대해 기업이 전권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성공적인 기업유치 여부가 세종시 계획 수정과 자족도시 건설의 핵심 관건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정부가 세종시를 자족도시로 만들기 위해 기업들에 본사나 사업장을 이전하라고 일방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세종시는 수도권과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내륙에 위치해 기업 입지로서는 결코 좋은 곳이라고 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세종시 이전을 유도(誘導)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정부가 검토중인 과학비즈니스벨트나 경제자유구역, 또는 기업도시 같은 형태의 개발도 그런 점에서 적극적인 대안이 될 만하다. 세종시를 일본의 도요타시나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기업에 자율성을 줘 산업은 물론 주거 교육 의료 등 자족적 복합기능을 함께 갖춘 도시로 개발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어떤 형태의 개발이든 세종시의 입지가 갖는 결함을 충분히 상쇄하고 투자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폭적인 규제 완화와 확실한 인센티브가 전제조건이 아닐 수 없다. 전경련 등 기업측에서는 아직 이 문제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이지만 기업활동에 충분한 지원조건이 갖추어진다면 이전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자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종시에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몰려들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제나 금융지원,입주 기업에 대한 제도적 혜택,기업활동의 인프라,규제 건 등 모든 분야에서 세종시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확신을 심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관점에서 세종시 수정안은 기업과 지역사회에 모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책들을 담아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