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따뜻한 시장경제' 만드는 기업들
기업들이 사회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서다. 사회와 함께 숨쉬며 공생하려는 노력이 역력하다.

불우청소년 · 장애인 · 독거노인 · 다문화가정 돕기 등은 기본이다.

소외지역에 정보기술(IT)을 보급하는 등 사회와 기업 고유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연결하는 활동도 활발하다.

애니콜 학교(삼성),이지무브(현대자동차),IT 서포터즈(KT),다솜이 봉사단(교보생명)처럼 해당 기업 이름만 들어도 자연스레 떠오르는 사회공헌 활동도 수두룩하다.

기업들이 사회 속으로 파고드는 이유는 분명하다.

사회에서 얻은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자는 취지다.

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사회와 함께 성장하자는 의미도 담겨 있다.

사회를 도외시한 채 이익만 추구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사회와의 소통 문제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그동안의 경험도 한 요인이다.

외국 기업들이 치른 대가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작용했다.

1994년 세계적 스포츠 용품업체 나이키는 파키스탄에서 아동 노동력을 착취하는 기업으로 찍혔다.

시민들의 불매운동이 거셌다. 이익만 추구한 결과였다.

세계 최대 커피 판매업체인 스타벅스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2001년 스타벅스는 에티오피아의 커피 농장에서 1㎏에 300원을 주고 산 원두로 25만원어치의 커피를 만들어 판다는 비난에 시달렸다.

기업의 경제적 · 사회적 ·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는 국제적 흐름에 대응하자는 의도도 깔려 있다.

기업이 사회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수치화한 후 이 점수가 나쁘면 무거운 세금을 매기거나 아예 거래를 못하게 하겠다는 게 일부 선진국의 생각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이미 환경 인권 노동 등에 관한 사회적 책임을 포괄적으로 규정한 'ISO 26000'을 제정했다.

표준안은 이달 중 150여개 회원국에 전달되고,내년 4월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총회를 거쳐 8월까지 최종 투표를 진행한 뒤 빠르면 내년 10월 발효될 예정이다.

ISO 26000이 발효된다고 해서 법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국제 상거래 표준으로 자리잡을 경우 간접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게 기업들의 설명이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는 "따뜻한 시장경제를 만들겠다는 기업들의 의지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어우러지고 있다"며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은 갈수록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형석 한국경제신문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