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나라당이 세종시 해법으로 법개정을 통한 원안 수정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한다. 여당이 국가적 현안에 본격적으로 나서 해결방안을 내놓기로 한 것은 늦은 감이 없지않지만 바람직하다. 책임정치를 해야한다는 측면에서도 그렇고,당초 이 문제가 정치권에서 선거와 결부시켜 촉발됐던 문제였던 만큼 정치권이 앞서 대안을 제시해야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세종시 문제를 두고 여권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을 지향하는지,개발 방식이나 일정은 또 어떤지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직 나온 게 없다. 다만 여권은 행정안전부 장관고시에 따른 이전 부처를 줄이는 식이 아니라 '세종시법' 자체를 개정하겠다는 것이다. 기왕 세종시 건설이 백년 뒤까지를 보는 것이라면 이런 접근방식이 옳다. 법에 따른 국책 사업인 만큼 상황변화에 따라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면 법개정을 통해 논란의 소지를 없애고 명확한 근거를 남겨두는 것이 당당한 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시건설 업무의 효율성에서나 외형공사후 도시의 내용을 채워넣는 일,나중에 시빗거리를 남기지 않는다는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조만간 총리실에 세종시 자문기구도 설치된다니 자족도시 건설을 위한 구체적 방안도 하나하나 마련될 것이다. 국제교육도시든,과학기술도시든,생태환경도시든 행정도시의 대안으로 이미 제시된 안도 적지 않다. 중요한 것은 법적 근거가 명확해질 때 자문기구에 힘이 실리고 일도 제대로 추진될 것이란 점이다.

여론의 눈치만 살피던 한나라당이 세종시 문제를 정면돌파하겠다는 것은 분명 진일보한 자세이지만 또한번 당위성의 애드벌룬 띄우기에 그쳐서는 안된다. 법개정 일정도 제시하고 야당 설득에도 나서야 한다. 보궐선거를 의식해 이달엔 안되고,연말에는 예산안 처리 때문에 어렵고,연초부터 싸울수는 없고,이런 식으로 미루기만 하면 곧바로 내년도 지방선거철이 돼 점점 더 어려워질 뿐이라는 점도 인식해야 한다. 청와대도 총리실에만 맡겨두고 뒷짐질 일이 아니다. 당 · 정 · 청이 하나로 나서도 후유증을 완전히 없애기가 어려운 게 이 문제다. 야당 역시 비효율을 수반하는 행정부처 이전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국가의 백년대계와 진정한 충청권 발전을 생각하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