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막판 성사 가능성 배제 못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면담 소식이 현 회장 방북 사흘째인 12일 밤까지도 전해지지 않음에 따라 여러 관측들이 제기되고 있다.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 일정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심경 변화나 현안 조율 과정에서의 차질 등 `돌발 변수'가 발생해 아예 면담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또 면담 지연 역시 북한 특유의 '관심끌기' 전술에 따른 것으로, 세인의 이목을 집중시킨 뒤 현 회장 면담과 현대아산 직원 유모씨 석방을 전격 연출함으로써 극적 효과를 거두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면담 소식 사흘째 없어 = 12일 오후 11시 현재까지 현 회장이 김 위원장을 만났다는 북한 매체의 보도도 없고 현 회장 측으로부터도 회동 사실이 전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날도 면담은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 회장 측이 이날 체류기간 추가 연장 계획을 통일부에 통보해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현재로선 13일 중 귀환한다는 계획에는 변동이 없는 상태다.

따라서 아직 현 회장과 김 위원장의 면담이 불발됐다고 보기는 이르다는 게 정부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현 회장이 13일 오전 중 김 위원장을 만나고 오후에 돌아올 가능성도 있고 13일 중 다시 체류일정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현 회장은 숙소인 평양 교외의 백화원 초대소를 떠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13일 오전 중 김 위원장과의 면담이 평양에서 성사될 가능성을 배제할 상황은 아니라고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또 김 위원장이 함흥에 체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현 회장이 체류 일정을 추가로 연장한 뒤 13일 함흥으로 이동, 김 위원장을 만나는 상황도 가능한 시나리오에 속한다.

◇ 면담 불발 가능성은 = 현 회장은 앞서 11일 체류 일정을 하루 연장키로 함으로써 김 위원장과의 면담 성사 가능성을 높였다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었다.

그러나 귀환 예정일 전날 밤까지 면담이 성사되지 않음에 따라 `불발'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게 됐다.

12일 중 이뤄질 것이 유력해 보였던 면담이 늦춰지고 있는 배경과 관련, 김 위원장의 일정 변수가 우선 거론된다.

함흥시에서의 현지지도 일정이 길어지거나 평양으로의 귀환에 모종의 장애 요인이 생겼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북한 매체들은 12일 오전과 오후에 걸쳐 김 위원장의 함경남도 함흥시 일정을 잇달아 보도했다.

김정숙해군대학을 시찰했다는 보도가 오전 6시에 나왔고 함흥대극장에서 북한군 장병들과 함께 연극 '네온등 밑의 초병' 공연을 관람했다는 보도가 오후 8시20분께 있었다.

김 위원장의 현지시찰 보도가 보통 전날 또는 2~3일전에 이뤄진 일정을 소개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김 위원장이 이미 함흥을 떠나 평양에 와 있을 개연성이 없지 않다.

그러나 한 정부 관계자는 "오늘(12일) 하루 조석간에 두차례 보도된 일정이 모두 함흥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이 아직 함흥에 체류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또 북한 특유의 '관심끌기' 전술일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즉 가장 최근 사례로 미국 여기자 문제로 전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억류중인 현대아산 직원 유모씨 문제, 나아가 남북관계에 대한 세인의 관심을 한껏 끌어올린 뒤 현 회장 면담과 유씨 석방을 연출함으로써 극적인 효과를 거두려 한다는 것이다.

현 회장 면담 등이 '세인 관심끌기'에 더해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과 미국 여기자 석방에서 보여준 대미 우호 제스처의 연장선에서 이뤄지는 것임을 과시하는 계기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인 셈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현 회장과의 만남을 계속 늦춤으로써 그간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워온 남한과의 관계를 당장 전면 개선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 면담에 앞선 군부대 관련 현지시찰 보도를 통해 '군사강국'임을 과시하려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만약 사전 입장 조율에 차질이 빚어졌거나 김 위원장의 심경에 변화가 생겼다면 면담은 물건너갈 수도 있다.

특히 지난 4일 클린턴 전 대통령과의 회동 이후 미국이 대북 제재의 고삐를 풀 조짐을 전혀 보이지 않자 대미관계 개선 행보에 발맞춰 대남관계를 함께 풀어나가겠다는 구상을 재검토해야할 필요성을 느낀 것 아니냐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유씨 문제는 어떻게 될까 = 현 회장과 김 위원장간 면담이 미뤄지면서 현회장 방북의 최대 현안인 억류 근로자 유씨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북 소식통들은 현 회장이 방북한 지난 10일까지만 해도 현대아산을 매개로 한 남북간 협의에서 현회장 방북을 계기로 북한이 유씨를 석방하는데 대해 양해가 이뤄졌기 때문에 석방은 사실상 택일의 문제라고 전했다.

북한이 유씨 문제와 관련해서는 다른 징후를 보이지는 않고 있는 만큼 이르면 현 회장 귀환 예정일인 13일, 늦어도 8.15 전날인 14일 중으로는 풀려날 공산이 큰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유씨 석방 문제도 현 회장과 김 위원장의 면담 성사와 연계돼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 위원장이 클린턴 전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 후 특사형식으로 여기자들을 풀어준 것처럼 이번에도 김 위원장과 현 회장간 회동에서 석방 방침을 통보한 뒤 풀어주려는 구상을 하고 있을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김승욱 기자 jhcho@yna.co.krksw08@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