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신장이식 665건 분석결과

배우자의 신장을 이식해도 이식 신장의 생존율이 부모-자식 간 신장이식에 비해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조직적합형(HLA)이 맞는 신장을 구하지 못해 애태우는 만성 신부전환자들은 배우자와 같은 타 인간 신장이식을 통해 희망을 찾을 수 있을 전망이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신장내과)·문인성(이식외과) 교수팀은 지난 20년간 서울성모병원에서 이뤄진 부부간 신장이식 77건과 부모 자식 간 신장이식 192건, 비혈연 간 신장이식 386건을 비교 조사한 결과 신장 생존율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고 6일 밝혔다.

배우자의 신장을 이식한 환자의 신장 생존율은 3년 80.9%, 5년 77.4%, 10년 60.6%였다.

반면 조직적합형이 잘 맞는 사람을 찾아 실시된 `비혈연 간 신장이식'의 경우도 신장 생존율이 3년 81.6%, 5년 73.1%, 10년 58.5%로 각각 집계돼 배우자 간 신장 생존율과 비슷했다.

이에 비해 조직형이 비교적 잘 맞는 부모-자식 간 이식신장 생존율은 3년 86.8%, 5년 80.3%, 10년 67.7% 등으로 부부간이나 비혈연 간 신장이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배우자의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 중 최장 기간 이식 신장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23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배우자 간 신장이식의 신장 생존율이 높아진 것은 다른 사람의 신장을 이식할 때 나타나는 급성거부반응이 강력한 면역억제제 사용과 조기진단 등으로 과거 30-40%에서 최근에는 10% 안팎으로 줄어든데다 부부간에 철저한 이식 후 관리가 있었기 때문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양철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배우자가 신장을 이식해 주는데 의학적으로 큰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임상연구"라며 "앞으로 부부간 장기이식이 공여자가 없어 이식하지 못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들에게 기회의 폭을 넓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bi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