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클린턴 42대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관련해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등 세계 경제의 상호 의존성이 확인됐다”며 “위기 극복 역시 각국의 공조가 이뤄져야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TV 창사 10주년 기념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에 참석하기 위해 4년여 만에 한국을 방문한 클린턴 전 대통령은 자신의 발언이 “오바마 행정부와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면서도 자신의 정치·경제 철학을 소신 있게 피력했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특히 “금융위기 발생 이후 일각에서 제기되는 보호 무역주의 주장에 대해 우려스럽다”며 “금융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고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오바마 행정부의 경기 부양안에 대해 “자산가치 하락을 막아 소비를 유도하고 인프라와 클린 에너지 투자를 늘려 성장률을 높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분석한 뒤 “공화당이 주장하는 전면적인 감세안은 고용창출 등의 효과가 크지 않아 적절치 못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특별연설에 이어 앤드류 고워스 전 파이낸셜 타임즈 편집장의 사회로 진행된 Q&A 시간에서는 미국의 외교노선과 대북문제 해결방안 등에 대한 질의와 응답이 30분여간 이뤄졌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미국이 세계 군사 대국이었던 것은 냉전이 끝날 때까지였다”고 못박은 뒤 “미국이 50년, 100년 뒤에도 세계 방향을 주도하는 지배적인 국가로 남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며 미국이 다자간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북 관계에 대해서는 “체제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북한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면서도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최은주기자 ej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