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연계증권(ELS) 수익률이 조작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돼 충격을 주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급진정되면서 이 상품에 대한 투자가 다시 늘고 있는 때 문제가 불거져 투자자 보호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ELS는 만기 때 수익률이 사전에 정한 기준치 밑으로 떨어지거나 오르지 않으면 투자자에게 수익률 외에 10~30%의 수익을 더 주도록 만들어진 파생상품이다.

기준치는 통상 위아래 30% 정도여서 증시가 안정적일 때는 인기가 높지만 수익률이 기준치 밑으로 떨어질 때는 문제가 된다. 이 경우 투자자들은 원금에서 마이너스가 된 수익률만큼을 빼고 남은 금액만 돌려받게 된다. 특히 수익률이 만기 동안 한번이라도 기준치를 벗어나면 추가 수익을 주지 않도록 돼 있다. 이 상품을 굴리는 자산운용사로서는 약속한 수익률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수익률을 낮추려는 유혹을 받을 수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ELS도 운용사인 캐나다 은행이 만기일에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팔아 수익률을 기준치 밑으로 떨어지게 만들었다. 한국거래소와 금융당국은 내달 초에나 정식 조사결과가 나올 예정이지만 수익률을 고의로 조작한 혐의가 짙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 은행이 국내 증시에서 파생상품 사업을 접기로 결정했다는 소식도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증권가에서 ELS 수익률 조작 가능성이 제기된 것은 사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주가가 폭락했던 지난해 9~10월께부터 이런 얘기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왔다. 주로 해외업체들인 자산운용사들이 마음만 먹으면 증시 급락기에 수익률을 조작할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마침 지난해는 주가가 폭락했던 때라 마치 장마 때 폐수를 몰래 흘려버리는 것처럼 '팔자' 주문을 내 장중에 주가를 더 떨어뜨리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그렇지만 이런 식의 모럴해저드는 속성상 확실한 '증거'를 찾기 어려워 가능성을 제기하는 소문 정도로 치부돼 지나갔다. 여기에는 고의성 여부를 판정하기 곤란하다는 점도 원인이다. ELS는 규정상 만기일 날 종가로 보유주식을 모두 팔아야 하는 구조인 것이 문제다. 자산운용사가 선의로 수익률을 관리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주식을 팔았더라도 만기일 해당 종목의 종가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수익률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도와 관계없이 시세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사기 십상인 것이다.

문제는 고의든 아니든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익률에 손해를 보게 된다는 점이다. ELS는 지난해 20조원이 팔렸고 올 판매액도 2조원에 육박한다. 이 가운데 만기를 1년으로 잡을 때 아직 7조원 이상이 수익률 조작 대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1인당 1000만원을 투자했다면 70만명이 이 같은 피해에 노출돼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에서는 ELS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만기일 당일이 아니라 만기일을 포함한 3일 또는 5일간 주가 평균으로 수익률을 산출하거나, 아예 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지 않고 현물로 결제토록 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불신은 또다른 불신을 낳기 쉽다.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ELS 수익률 조작 여지를 없앤 투자자 보호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불신의 확산을 막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