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거액의 단기부동자금인 MMF를 기업쪽으로 돌리기 위해 나섰습니다. 돈맥경화를 풀어보자는 것인데요. 정부의 의도대로 될 지는 의문입니다. 보도에 김덕조 기잡니다. 단기자금 MMF가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말 89조원이었던 MMF는 올해 1월 8일 100조원, 현재 125조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업계와 정부의 강도 높은 조치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15개 자산운용사가 법인용 MMF 수탁액을 현재보다 15% 줄의기로 결의했습니다. 57조원 규모의 법인 MMF 수탁액을 5월말까지 50조원으로 끌어내린다는 방침입니다. 이어서 16일 금융위원회도 MMF의 채권·기업어음 투자비율을 최소 40% 이상으로 의무화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국고채 1년물까지만 매수할 수 있는 현행 MMF 투자규정을 수탁고의 5% 이내에서 5년이하 국채를 편입할 수 있도록 바꾸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운용업계와 정부의 계획은 시중에 묶여 있는 단기자금을 기업쪽으로 돌려 돈맥경화 현상을 풀어보자는 의도입니다. 여기에 정부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쏟아내는 국고채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입니다. 하지만 의도대로 될지는 의문입니다. MMF 자체가 기업의 수요대로 초단기로 운용되고 MMF 정도의 안정성을 가진 투자대안이 나와야 가능하다는 분석입니다. 박태근 한화증권 채권전략 팀장 "위험이 같아야 다른 채권에도 투자할 수 있다. 5년물처럼 만기가 길어지면 위험이 커진다. 1년물 등 채권과 국채 만기를 짧게 하는게 좋다" 몰론 업계와 정부의 강력한 조치는 MMF 자금을 중장기 자금으로 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장 전문가들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는 경제지표가 나와야 자금의 장기순환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WOW-TV NEWS 김덕조입니다. 김덕조기자 dj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