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베르의 소설 '뇌'엔 이런 대목이 나온다. "지옥은 우리 머릿속에 있어.욕망이 없으면 고통도 없지." "고통이 없으면 삶도 없죠.살아있는 존재의 특성이 곧 고통을 느낀다는 것 아닌가요. " 딸을 마약중독에서 구하려 뇌의 쾌감중추를 제거한 어머니와 기자인 이지도르의 대화다.

회복되기는커녕 점점 악화되기만 하는 듯한 경제 위기로 인해 다들 좌불안석이다.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서 아무도 이렇다 할 전망이나 해답을 내놓지 못하니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막연하니 불안하고,불안하니 두렵고 무섭다.

그러나 이지도르의 말처럼 고통은 살아있다는 증거고,살아있는 한 희망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아픈 사람도 하루 스무 번씩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되풀이하면 병세가 호전된다는 에밀 쿠에의 자기암시법은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지닌 놀라운 치유의 힘을 전한다.

뜻에 상관없이 간절한 소망을 담아 되뇌는 주문(呪文)이 간혹 뜻밖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도 이런 자기 암시 내지 최면의 효능과 무관하지 않을지 모른다. 톱스타 장동건과 정지훈(비)을 내세운 SK텔레콤 이동통신 브랜드의 광고문구 '비비디 바비디 부'(Bibbidi Bobbidi Boo)도 그런 주문의 일종이다.

'비비디 바비디 부'는 동화 '신데렐라'에 등장하는 요술할머니가 호박과 누더기옷을 마차와 아름다운 드레스로 바꿀 때 쓰는 주문에서 가져온 것.생각과 꿈을 실현시키는 마법의 용어다. 하지만 주문이 통하는 건 쿠에의 자기암시와 마찬가지로 상상과 의지라는 두 에너지가 힘을 합칠 때다.

꿈만 품은 채 주문만 외우면 되는 게 아니라 생각대로 (실천)하면서 주문도 외워야 되는 것이다. 힘겨운 현실 속에서 불안을 떨치고 긍정의 힘을 얻을 수 있는 주문은 많다. '아브라카다브라(Abracadabra,말한 대로 이뤄지리라)','하쿠나 마타타(걱정마,다 잘될 거야)' 등이 그것이다.

어려운 말만 있는 것도 아니다. 일본 갑부 사이토 히토리씨는 부자가 되고 싶으면 "노력해서 안되는 일은 없다"와 "하지 않고 저절로 되는 일도 없다"는 주문을 매일 크게 외치라고 조언한다. '명유아작 복자기구(命由我作 福自己求:운명은 스스로 결정짓고 복은 자기에서 구하는 것)'라는 얘기도 있다.

박성희 수석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