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세계 각국이 실물경제 위축과 대량 실업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동시에 재정확대정책을 펴는 '글로벌 딜'을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현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어제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코리아 2009'세미나의 기조 연설을 통해서다. 나아가 오는 4월 영국 런던에서 열릴 G20 정상회의에서 각국이 구체적인 재정투자계획을 제시하는 형태로 글로벌 딜에 관한 실천적 합의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목할 만한 제안이 아닐 수 없다.

이 대통령의 주장은 '각국이 공조(共助)하고 합심해 글로벌 딜을 만들어 내는 것이야말로 전 세계적 금융위기를 풀어내는 해법'으로, 글로벌 차원의 위기 대책 또한 글로벌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요지다. 위기극복을 위해서는 모든 국가가 힘을 합쳐 한꺼번에 충분한 대응책을 내놓고,동시에 실행하는 것이 전제돼야 하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사실 지금의 경제위기는 세계 각국이 함께 겪고 있는 일인 만큼,금융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긴밀한 국제공조가 최우선적인 과제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몇몇 나라만의 제한적인 노력이나,특히 자국이기주의를 우선한 산발적 대응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결국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고통은 장기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글로벌 딜 해법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다.

물론 이런 제안이 성과를 거두고,실천력이 뒷받침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각국의 재정이 갈수록 악화되고 ,선진국의 보호주의 경향까지 노골화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번 세미나에서 이 대통령이나 로버트 루빈 전 미국 재무장관 등이 일부 국가의 자국 산업 및 고용만을 우선하는 보호무역과,금융에서도 내외국을 차별하는 성향을 경계하고,'제살깎기식' 보호주의를 배격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도 그런 우려에서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지금 경제현실의 심각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이끌어 낸다면,글로벌 딜의 실천적 합의를 통해 위기에 대처하는 공동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어렵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번 제안에 보다 적극적인 추진력과 외교력이 발휘됨으로써 국제공조의 틀을 보다 공고히 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