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북핵문제 공동대응 방안을 비롯한 양국간 협력강화 방안이 폭넓게 협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 · 중 · 일을 함께 방문하는 그의 방한은 오바마 정부 초대 국무장관의 첫 해외 순방(巡訪)인데다,북한이 최근 들어 한반도 주변에 긴장을 계속 고조시키고 있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클린턴 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양국이 논의해야 할 최대 과제는 한층 더 공고한 한 · 미 공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 무력 도발을 마치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지금 상황에서는 한 · 미간에 전면적이고 물샐틈없는 공동대응 원칙부터 대내외적으로 재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방 · 외교 등 실무전문가 그룹은 기존의 협력시스템을 최고수준이 되도록 하나하나 점검해나가야 한다.

바로 어제까지도 북은 총참모부 대변인이 나서 "전면 대결태세 진입상태" 운운하며 대남 위협의 수위를 조금도 낮추지 않고 있다. 그런 만큼 클린턴 장관의 방한을 양국은 우리 국민의 안보적인 불안감을 해소시킬 만한 확실한 공조체제를 과시하는 계기로 삼아야만 한다. 한 · 미간에 이견은 물론이고 '공조 노력'수준의 애매한 결론만으로는 북이 무모한 도발을 못하게 하는 경고가 되기에도 어렵기에 하는 말이다. 양국이 완벽한 공조체계를 재확인하는 것은 한반도뿐 아니라 주변국 모두의 평화안정에도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북핵문제에서 근래 한 · 미간에 미묘한 인식차도 엿보인다는 일각의 지적은 결코 그냥 흘려보낼 일이 아니다. 미국이 마치 북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일련의 보고서나 발언을 내놓은 것이 그 사례다. 이런 사안들 하나하나에도 양국간에 치밀한 사전 협의 등으로 빈틈없는 협력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自明)한 일이다. 클린턴 장관의 방한이 이런 우려까지 말끔히 털어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미국은 북에 대해 우리 정부를 배제한 소위 '통미봉남'전략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분명히 해줄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북이 6자회담장으로 복귀해 기존에 합의했던 핵폐기의 기본일정을 따르도록 유도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