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아시아 기초과학의 메카를 만들어 보자는 취지로 이명박 정부가 공약했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그동안 지지부진해 보이던 이 사업이 공청회 등을 거치면서 이제야 그 근거 법안이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3조5000억원 규모의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이 당초 기대한 대로 이루어지려면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는 생각이다.

이 구상이 처음 나왔을 때 과학기술계는 적잖이 기대를 걸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명박 정부가 내걸었던 과학기술 대선 공약(公約) 중에서 색다르게 느껴졌던 유일한 프로젝트였던데다,인수위 당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산하에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을 위한 분과까지 만들어졌기에 더욱 그랬다.

하지만 막상 사업의 윤곽이 드러난 지금은 당초 생각했던 것에 비해 미흡하다는 반응도 적지 않고, 그마저도 잘 될까하는 회의감이 제기되는 분위기다.

물론 가속기나 기초과학연구원만 해도 이를 계기로 기초과학을 크게 끌어올릴 수만 있다면 그 의미를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것이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도 해결돼야 할 과제들이 적지않아 보인다.

정부는 국회에서 법이 통과되면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하지만 우선 가장 중요한 사업인 기초과학연구원부터 더 다듬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외국의 유수과학자들이 모여들어야 할 텐데 문제는 이들을 무조건 끌어온다고만 해서 끝날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을 어떻게 착근(着根)시킬지, 또 어떻게 하면 제대로 활용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보면 단순히 연구에만 초점을 둘 게 아니라 연구와 교육기능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

그외에도 구체적인 재원조달, 과학과 비즈니스 연계를 위한 금융, 역할과 책임이 분명한 추진기구 설립, 대상지역 선정과 기존 사업들(각종 특구, 클러스터 등)과의 조정 등 풀어야 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일이지만 이런 것들을 처음부터 분명히 해두지 않으면 자칫 용두사미로 끝날 수도 있기에 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