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끝나 후속조치가 마무리되면 금주중 새로운 경제팀이 출범(出帆)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의 경제팀이자,위기국면의 우리 경제를 살려내야 할 막중한 책임을 떠맡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새 경제팀의 최우선적인 정책 과제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내수경기 부양과 일자리 창출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윤 후보자도 여기에 정책의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한 재정확대,일자리나누기,기업 및 금융 구조조정의 조속한 마무리,금산분리와 부동산규제 철폐,신빈곤층 지원 대책 등 어느 것 하나 시급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이미 올해 우리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 마당이고 보면,조금이라도 경기진작 정책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시도 머뭇거릴 일이 아니다.

따지고 보면 이런 정책 과제들은 그동안에도 수없이 거론되어 왔던 것이고,1기 경제팀의 정책방향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문제는 얼마나 신속하고 과감하게 추진되어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그 효과를 체감하고 경제살리기로 이어질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정책운용이 실기하지 않고 시장에 제대로 먹힐 수 있도록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라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새 경제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에 대한 신뢰회복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1기 경제팀이 추진해온 정책들의 충분한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렇다. 경제위기의 초기 대응에 실기(失機)한 측면이 크고,섣부른 '환율발언' 등으로 시장의 혼란을 야기함으로써 신뢰성을 상실한 탓이다.

결국 어떤 정책이든 그 성패는 시장의 신뢰에 달렸다. 정부는 우선 시장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마련하고,과단성있는 리더십 발휘와 경제팀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집행의 일관성을 유지해 나간다면 시장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회 또한 비상한 경제상황인 만큼 정쟁만 일삼으면서 더 이상 경제살리기의 발목을 잡지 말고,위기극복에 앞장선다는 각오로 경제활성화를 위한 개혁작업을 지원하는데 적극 나서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