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새해 들어 또한번 남북관계를 퇴보시킬 수도 있는 대남 비방을 해오면서 의도적으로 긴장을 고조시키려 들고 있다. 북은 지난 주말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 성명이란 것을 통해 '대남 전면대결 태세' 운운하며 당치않은 위협까지 가해와 자못 염려스럽기도 하다. 지난해 금강산에서 민간인 피격사건 후 사과 한마디 없이 남북간 육로통행을 차단했고 남북경협의 성과물인 개성공단 운영까지 가로막더니 이제는 더 거친 행동을 예고하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다.

물론 지난해 이후 북측이 이런 성격의 성명을 거듭 발표하는 등 무모한 행보(行步)를 이어간다는 점에서 상투적인 수법으로 치부해 버리고 의연하게 대처하는게 맞을 것이다. 긴장을 조성하려는 북의 속셈이 따지고 보면 뻔하기 때문이다. 그게 오바마정부 출범에 맞춰 미국과 직접 대화를 겨냥했든,김정일 위원장 건강이상설과 맞물려 들려오는 후계확정설에 따른 북 내부 단속용이든,우리쪽 갈등을 조장하기위한 것이든 남쪽의 과잉반응부터 유도하려 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북 군부의 성명을 무시할 수 만도 없는 것은 비이성적인 판단으로 무모한 도발을 할 가능성 때문이다. 지난해 이후 이어지고 있는 북측의 여러가지 조치나 이번 성명의 내용을 뜯어보면 서해상에서 충돌 개연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운 만큼 우리의 안보의식을 차제에 다시 한번 점검하고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실제로 10년 만에 군복 입은 대변인을 내세운 것이나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강경한 표현들을 보면 더욱 그런 의구심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정부는 보다 높은 차원의 부처간 협력을 통해 다각적인 대응책을 강구하는 한편 국방 경계태세를 더욱 공고히 함으로써 북측의 섣부른 도발이나 불장난을 사전에 봉쇄(封鎖)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할 것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북의 올바른 상황판단과 신중한 행동이다. 특히 북측은 미국의 행정부가 바뀌었다 해서 대외정책에서 근본적으로 변한 것은 없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진행중인 6자회담에 성실히 임해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복귀하는 것만이 유일한 생존전략이란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