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만 칼럼] "경험 풍부한 중간간부 없나요?" 이공계 출신 대리·과장급 '품귀'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교육훈련을 마쳤고 업무경험도 웬만큼 쌓아 성과를 내고 있는 실무급들이기 때문이다.
기업들로서는 별도의 교육훈련 없이 곧바로 현장에 투입해 기존 직원들처럼 일할 수 있으니 예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최근 대리∼과장급 엔지니어들에 대한 기업들의 애정표시는 예년에 비해 그 강도가 훨씬 세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화학이나 기계 건설 전기 전자 등 제조분야 기업들은 실무급 엔지니어를 구하지 못해 야단이다.
원인은 외환위기로 바뀐 기업의 인력운용 방식이었다.
외환위기 이후 2000년까지 3~4년 동안 기업들은 긴축경영을 하면서 과감하게 인력을 구조조정했다.
기존 사원들을 내보내고 신입사원 채용을 최소화했다.
그러다보니 인력구조가 왜곡되고 말았다.
당시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요즘 대리∼과장급의 고참 실무자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기업에서 이 층의 인력이 얇아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워낙 숫자가 적다보니 그 중 몇 명이 회사를 떠나면 업무 자체가 마비될 정도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온갖 방법을 동원해 경력자 충원에 나서고 있지만 풀 자체가 적어 갈증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방에 위치한 회사들은 엔지니어 수급이 안돼 사업추친에 차질이 빚어지기까지 한다.
이 때문에 임원이나 고급인력을 주로 담당하는 헤드헌팅회사에도 대리∼과장급 엔지니어를 찾아 달라는 기업들의 요청이 끊이지 않는다.
기업 간 영입경쟁이 심화하면서 인사담당자들은 경력 엔지니어를 영입하기 위해,다른 한편으로 해당 분야 직원의 유출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엔지니어 전쟁, 즉 'war for engineer'가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은 취업이나 이직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고 있다.
우선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엔지니어들은 대기업으로 옮길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또 과거 대기업에 근무했다가 그만둔 사람들도 복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나이가 많아 포기한 사람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기업문화가 맞지 않거나 자신에 대한 평가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직을 시도할 수 있다.
실무 엔지니어급 인재시장에서 칼자루는 이제 회사가 아니라 개인이 쥐고 있다.
경력관리가 잘 안돼 있는 사람이라면 이 기회에 자신의 경력을 수정하는 게 좋다.
이 같은 호기는 기껏해야 2년 안팎이면 끝날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제조업의 엔지니어는 한 번쯤 자신의 경력관리 상황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경력이 잘 관리되고 있다면 굳이 고민할 이유가 없겠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판단한다면 이번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
<신현만 커리어케어 대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