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이 새해 벽두부터 혁신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참여정부 후반기를 맞아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추구함으로써 공공성과 수익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초석을 다지겠다는 각오다.


이러한 변화 바람은 에너지 전력 전기 농업 금융 등 모든 공기업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실 공기업은 강도 높은 혁신을 단행하지 않더라도 경영에 큰 문제가 따르는 건 아니다.


정부가 위임해 준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공공적 사업을 맡고 있는 만큼 경쟁 요소도 많지 않다.




돈을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민간기업처럼 주주나 사회로부터 맹렬한 질타를 받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과거 공기업과 공기업 임직원들은 복지부동의 대명사로 지적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안이한 인식과 태도는 공기업 내부에서부터 먼저 거부당하고 있다.


내부로부터 혁신을 이루지 못할 경우 도태될 것이란 게 공기업들의 판단이다.


'고인 물'에 머문다면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긴박감마저 감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론 고객을 기다리는 회사에서 고객을 찾아가는 회사로 탈바꿈하고 있다.


업무 성격은 공공성이 강하지만 업무 방식이나 임직원들의 자세는 민간기업 수준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석유공사나 가스공사처럼 최근 민간기업 경영인 출신이 사령탑을 맡은 회사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기업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기획예산처가 한국생산성본부에 의뢰해 지난해 말 작성한 '공기업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가 대표적인 사례다.


2005년 주택공사 한국전력 등 17개 대표 공기업들의 고객만족도 평균 점수는 80.6으로 평가됐다.


2004년의 79.4에 비해 1.2점 높아졌으며 사상 처음으로 80점대를 넘어섰다.


이 조사를 처음 시작한 1999년의 58.1과 비교하면 20점 이상 높아졌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이를 놓고 "공기업이 꾸준히 혁신을 이룬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제 공기업은 90점을 목표로 뛰고 있다.


혁신에 성공한 공기업은 기업가치 상승이란 기쁨도 동시에 누리고 있다.


7년 연속 일반인 대상 고객만족도 1위를 차지한 한국전력의 시가총액은 지난 2002년 말 11조7000억원 수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말엔 24조2000억원으로 2배 이상 뛰었다.


기관 및 기업 대상 고객만족도 1위를 차지한 가스공사의 주가도 2002년 말 2만원 안팎에서 지난해 말 3만3000원대까지 상승했다.


공기업 혁신을 이끈 CEO(최고경영자)는 장·차관으로 발탁되는 영광도 얻었다.


강동석 한전 사장은 2003년말 건설교통부 장관,조환익 산업기술재단 사무총장은 2004년 7월 산업자원부 차관,오영교 KOTRA 사장은 2005년 초 행정자치부 장관에 각각 임명됐다.


청와대는 특히 오 장관의 발탁에 대해 "KOTRA의 혁신을 이끌어 정부혁신에 박차를 가한다는 의미에서 기용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공기업으로 하여금 변신을 촉구하는 또 다른 요인은 정부가 추진 중인 지배구조 혁신정책이다.


기획처와 KDI(한국개발연구원)는 지난해 11월 말 '공공기관 지배구조 혁신방안'을 발표하고 관련 법률 개정작업을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EO에 국한됐던 공모제가 임원으로까지 확대되고,각 부처로 나뉘어져 있던 인사권과 경영감독 권한이 기획처로 일원화되는 것이 골자다.


'낙하산 인사'를 차단해 공기업병을 원천 치유해 보겠다는 의미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경영실적 평가 결과를 토대로 상여금의 지급 여부와 규모를 결정토록 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