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5555@posdata.co.kr 1만달러 수준에서 머물 것인가,아니면 2만달러의 선진 경제로 도약할 것인가?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강의 기적을 일구었던 우리나라는 국민소득 1만달러 시대를 연 지 8년째를 보내면서도 그 한계를 넘지 못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정보기술(IT)산업을 새성장 동력으로 육성해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열겠다고 얘기한 바 있다. 실제로 올해 IT 수출액이 사상 최고액인 5백75억달러에 달해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견이 없다. 하지만 IT분야 중에서도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소프트웨어분야의 올 한해 수출액은 6억8천만달러로,전체 소프트웨어 생산액 대비 3% 수준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치유가 필요하다. 우선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다. 공공부문의 내년도 정보화 예산이 당초 4조2백84억원에서 3조1백99억원 규모로 삭감된 현실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의 자생력을 키우기란 쉽지 않다. 정통부와 소프트웨어진흥원이 새해 리눅스를 비롯한 공개소프트웨어와 유비쿼터스 관련 신기술을 집중 육성,세계 소프트웨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힌 점은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소프트웨어산업은 창의성이 뛰어난 인재를 얼마나 확보하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갈라진다. 최근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많지만 선진국에 비해 이공계 비율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고급인력의 부족이다. 산업화 시대 기름 묻은 작업현장을 연상하는 이공계 출신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를 바꾸고,국가적 차원에서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양성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끝으로 각 지방자치단체가 의욕적으로 유치해 온 벤처단지,소프트타운 등이 무늬만 IT단지가 아닌지 재조명하고 그 기능을 제대로 살려야 한다. 실제로 벤처와 과학기술의 요람인 대덕밸리가 그 지역 지도자의 성향에 따라 활기와 침체의 길을 반복하는 것만 봐도 각 지역 책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모쪼록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를 갖춘 국가의 명성에 맞게 소프트웨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소프트웨어 강국의 꿈과 함께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가 앞당겨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