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평균연령이 지난해말 현재 36.7세를 기록해 90년보다 4.1세,80년에 비해선 7.9세나 높아진 것은 노동력의 고령화 추세를 뚜렷이 보여준다. 근로연령층이 높아지면 기업부담도 비례적으로 늘어 경영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만큼 경제활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라도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는 대단히 시급한 과제라고 본다. 전체 근로자수는 90년보다 17.4% 늘어났지만 30세 미만 일자리는 46만여개나 줄었고 55세 이상 근로자를 15∼29세 청년 근로자로 나눈 비율인 고령화 지수도 21.2%로 3배 이상 높아졌다. 특히 제조업 생산현장의 노동력 고령화 추세는 더 심각하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평균연령이 44.5세, 평균근속연수는 16년에 달한단다. 노동력 고령화 현상은 청년층 진학률 상승, 수명연장, 고령층 활동 증대 등에도 상당한 원인이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 이유는 노동시장의 탄력성 부족에 있다고 봐야 한다. 강성노조가 기존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진입장벽을 만든 탓에 젊은 피가 공급되지 않는 것이다. 청년실업이 발등의 불같은 과제가 됐지만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은 가정을 이끌어가는 중장년층 실업문제도 예삿일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중장년 근로자가 예전보다 늘었다고는 하지만 전반적 고령화추세를 감안하면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노동시장의 제반 문제를 단숨에 해결하긴 불가능한만큼 다양한 형태의 노력을 꾸준히 기울여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합리적 노동운동의 정착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등으로 중장년층 일자리 유지에도 신경을 써야만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아무리 대책을 쏟아내더라도 기업들이 투자와 채용을 하지 않고 공장을 해외로 옮기는데만 골몰한다면 효과가 있을리 만무하다.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기업의욕을 부추기는 것이 바로 경제를 살리는 지름길임을 잊어선 안된다.